“양국 방위·안보 관계 격상” 日-印 ‘중국 견제’ 가속화

입력 2014-09-01 02:08
‘중국 견제’라는 깃발 아래 일본과 인도가 급속도로 가까워지고 있다. 일본은 인도의 기반시설 건설을 위해 차관을 지원하기로 했고,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양국의 방위·안보 분야 관계를 격상할 때가 왔다”고 화답했다.

일본 산케이신문은 일본 정부가 인도인프라금융(IIFCL)에 500억엔(약 4879억원)의 차관을 제공하기로 결정했다고 31일 보도했다. 또 5년에 걸쳐 차관, 민간투자, 일본국제협력은행(JBIC) 융자 등 수조엔 규모의 일·인도 간 경제협력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덧붙였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1일 정상회담을 열어 이 같은 구상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베 총리는 30일 방일한 모디 총리를 교토까지 마중 나가는 파격행보를 보였다.

현지 언론들은 이와 같은 아베 정권의 ‘인도 공들이기’가 다각도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해석했다. 아사히신문은 중국이 남중국해의 거점 항구 투자를 통해 인도를 둘러싼 ‘진주 목걸이’ 형태의 세력권을 형성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아베 총리가 이를 막기 위해 조만간 방글라데시와 스리랑카를 방문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인도의 모디 총리 역시 방일을 앞둔 지난 29일(현지시간) 인도 뉴델리에서 일본 언론들과 만나 일본과의 안보·방위 협력을 대폭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그는 일본의 ‘무기수출 3원칙’ 폐기와 관련해 “(인도와 일본이) 고도의 방위기술에 관한 협력 시대를 열어갈 가능성이 생겼다”고 반기며 양국이 정기적으로 군사훈련을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모디 총리는 방일기간 동안 해상자위대의 구난용 비행정 US2 수입과 신칸센 고속철도의 인도 도입, 일·인도 원자력 협정 체결 추진 등을 논의한다.

하지만 인도의 최대 무역 상대국이 중국인 데서 드러나듯 이미 경제적으로 밀접한 양국 관계를 고려할 때 인도를 이용한 일본의 중국 견제 시도는 한계가 있다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실제 모디 총리는 “중국과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최대한 확대하겠다”며 중국 주도의 아시아인프라개발은행(AIIB) 참가를 시사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