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야농성 중단… 정기국회 개회식엔 참석

입력 2014-08-30 03:55 수정 2014-08-30 14:23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 겸 원내대표 등 의원들이 29일 서울 종로구청 앞에서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대국민 선전전을 벌이려 하자 어버이연합 등 보수단체 회원들이 항의하고 있다. 서영희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이 29일 나흘째 지속된 국회 예결위회의장 철야농성을 중단했다. 또 다음달 1일 개최되는 정기국회 개회식에 참석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기국회 정상화를 선언하지는 않았다. 개회식 이후 세월호 참사 현장 인근인 진도 팽목항에서 서울까지 도보행진을 하겠다는 계획이다. 사실상 국회 안팎에서 병행 투쟁에 들어간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새정치연합 박범계 원내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정기국회 개회식에는 참석키로 했으나 이후 본회의 및 각종 상임위 회의와 관련해서는 여야 간 합의가 전혀 안됐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다음 주부터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한 상임위별 민생 투어에 나서기로 했다”며 “상임위별로 하루 한 건씩 안전 문제를 점검하는 행동과 정책 대안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여전히 장외투쟁의 끈을 놓지는 않고 있다. 일단 농성 등 강경한 장외투쟁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30일 열리는 ‘세월호 특별법 제정촉구 문화제’를 대대적으로 개최할 계획이다. 지난 2월 이후 6개월 만의 대규모 장외집회다.

또 정기국회 개회식 이후 일부 의원들은 팽목항에서 서울까지 도보행진에 들어갈 예정이다. “정기국회를 열자마자 국회를 떠났다”는 비판을 우려해 도보행진에는 일부 의원만 나설 것으로 보인다.

당 관계자는 “도보행진은 15일에서 20일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며 “구체적인 일정은 계획 중”이라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은 장외투쟁을 계속해야 한다는 강경파와 국회로 돌아가야 한다는 중도·온건파 사이에서 절충점을 찾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당 지도부는 주말 여론 등을 경청한 뒤 향후 세월호 정국 돌파 방안 및 9월 정기국회 대응 전략 등을 모색할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새정치연합은 새누리당과 정부의 일방적인 ‘민생 드라이브’에 대해 날카롭게 비판했다. 우윤근 정책위의장은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정부·여당이 추진 중인 30여개 경제 살리기 법안 중 11개가 반서민적 가짜 민생법안”이라며 “민생법안으로 포장된 가짜 민생법안을 밀어붙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9월 정기국회에서 민생경제와 국민안전 관련 법안을 조속히 처리해 달라는 정홍원 국무총리의 대국민 담화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한정애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세월호 참사에 책임을 지고 물러난 총리가 유임돼 세월호 특별법은 외면하고 재벌·대기업 중심의 무늬만 민생입법을 통과시켜 달라고 호소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새정치연합 의원들은 점심시간을 활용해 서울 홍대 앞과 종로구청 앞에서 유가족이 원하는 세월호 특별법 제정촉구 등을 위한 거리 홍보전을 벌였다. 종로구청으로 간 의원들은 어버이연합 등 일부 보수 단체의 항의로 신촌으로 이동해 선전전을 펼쳤다.

정의당 천호선 대표 등 5명은 이날 단식농성을 중단했다. 이들은 야당의 특별검사 추천권이 보장된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며 지난 20일부터 청와대 분수대 앞과 광화문광장에서 단식농성을 해왔다.

임지훈 기자 zeitgei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