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박영선·문재인·박지원 어떤 행보 보일까] 정치적 기반 다른 빅3… 협력·긴장 반복할 듯

입력 2014-08-30 03:55
투쟁 이미지 벗는 박영선
선명성 부각 문재인
노련한 정치인 박지원. 연합뉴스
새정치민주연합의 향후 방향성을 놓고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 겸 원내대표와 문재인 상임고문, 박지원 의원 등 당내 영향력이 막강한 3인의 역할에 관심이 쏠린다. 세 사람은 정치적 기반이 다르고, 이해관계가 복잡 미묘하게 얽혀 있다. 이들은 협력과 긴장을 반복하며 세월호 정국을 풀어나갈 것으로 관측된다.

◇선명성 부각시킨 문(文), 투쟁 이미지 탈피하려는 박(朴)=최근 정국에서 박 위원장은 그동안 쌓은 강경파 이미지를 탈피하려고 노력했다. 당내 강경파 및 유가족 반발로 무산되기는 했지만 지난 7일과 19일 두 차례에 걸쳐 세월호 특별법 여야 원내대표 합의안을 만들어냈다. 그러나 두 차례 의원총회의 추인 거부로 타협 행보가 주춤하고 있다.

반면 지난 대선 후보이자 차기 대선 주자인 문 고문은 9일간에 걸친 세월호 단식농성을 통해 본인의 의사를 떠나 지지층과 강경파를 이끄는 존재감을 과시했다. 박 위원장의 행보에 브레이크가 걸린 데는 문 고문의 단식농성이 결정적 영향을 끼쳤다. 두 사람은 정치적으로 볼 때 ‘세월호 8월 정국’의 대척점에 서 있었다.

문 고문은 단식 중단 직후 병원에 입원했다가 29일 오후 퇴원했고, 이후 자택에 머물면서 단식으로 지친 몸을 추스르고 있다. 단식 중단 기자회견에서 “국회에서 특별법 제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힌 만큼 다음달 1일 정기국회 개회식에도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일단 박 위원장과 문 고문은 ‘세월호 9월 정국’에서 서로 협력이 필요해 보인다. 박 위원장은 비대위 체제 안정을 위해 친노(친노무현)계 좌장인 문 고문의 도움이 필수적이다. 문 고문 역시 단식농성으로 당 지도부를 흔들었다는 비판을 받았던 터라 행보가 조심스럽다.

둘 사이는 외부에서 보는 것만큼 나쁘지는 않다는 게 양측의 공통된 설명이다. 서로 어려워하고 예의를 갖추는 사이라는 것이다. 박 위원장은 ‘8·19재합의안’이 발표되기 전날 문 고문과 상의하는 등 지난 5월 원내대표 당선 이후 수시로 접촉하고 있다고 한다. 친노계 한 의원은 “문 고문이 재합의안에 반대하지 않았으면 박 위원장이 더욱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때문에 향후 문 고문이 강경파를 아우르면서 박 원내대표의 대여 협상력을 높여준다면 전략적으로도 최선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정치적 기반이 달라 언제든 갈등이 불거질 수 있다는 관측이 만만치 않다. 지난 원내대표 선거에서 드러났듯 친노계는 박 위원장 지지 세력이 아니다. 사안에 따른 전략적 제휴관계 정도다. 또 차기 대권 의지를 밝힌 문 고문과 함께 박 위원장도 잠재적 대권 주자로 분류되고, 특히 문 고문은 비대위 체제 이후 당권을 겨냥하고 있어 근본적인 갈등 원인이 될 수 있다. 대선 패배 이후 선명성을 부각시키고 있는 문 고문과 비대위원장 선출 이후 타협의 정치에 방점을 찍은 박 위원장의 지향점도 다르다.

◇박남매…윈-윈할 수 있을까=호남 중진인 박지원 의원의 최근 행보도 당 안팎에서 많은 해석과 유추를 낳고 있다. 박 의원은 ‘박남매’라고 불릴 정도로 박 위원장과 가깝다. 그러나 세월호 특별법 여야 원내대표 합의안이 발표되는 과정에서는 긴밀한 소통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 의원은 지난 21일 재합의안에 대해 “유가족이 반대한다면 파기할 수밖에 없다”고 못 박았다. 다음날 비대위원장·원내대표 겸직 분리를 논의한 중진 조찬 회동에도 참석했다. 이에 대해 수도권 한 의원은 “박 의원이 박 위원장을 공개적으로 대놓고 압박한 것”이라며 “이상한 일”이라고 말했다.

당내에서는 두 가지 해석이 나오고 있다. 우선 박 의원이 박 위원장의 세월호 특별법 처리 방식에 대해 ‘공개적인 훈수’를 뒀다는 것이다. 실제로 박 의원은 합의된 특별법 내용과 박 위원장의 대처 방식을 안타까워했다는 후문이다. 재합의안 파기 이후에는 두 사람이 수시로 논의를 주고받는다고 한다.

보다 냉정한 해석도 있다. 차기 당권을 노리는 박 의원이 세월호 특별법으로 박 위원장의 스텝이 엉키자 의도적으로 거리를 뒀다는 것이다. 박 위원장은 전당대회 룰을 정해야 하는 입장이고, 박 의원은 차기 당권주자라는 점에서 양측은 협력과 긴장관계를 반복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