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당국이 존폐 기로에 섰던 자동차 복합할부금융을 유지하기로 했다. 앞서 현대차가 “신용카드사의 개입으로 불필요한 가맹점 수수료를 발생시킨다”며 복합할부금융 폐지를 주장했었다. 현대차는 관련 상품의 폐지가 어려워지자 카드사들에 가맹점 수수료율을 낮춰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29일 카드·캐피털사에 복합할부금융 유지 방침을 전달했다. 복합할부금융은 캐피털사의 자동차 할부를 이용하는 과정에 카드사가 개입된 구조다. 고객이 특정 카드로 결제하면 그 카드사와 제휴한 캐피털사가 대신 결제금액을 갚아주고, 고객은 캐피털사에 할부금을 지불하게 된다. 고객 입장에선 문제될 게 없지만, 현대차는 카드사에 지불하는 1.9%의 가맹점 수수료가 불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현대차를 캡티브마켓(전속시장)으로 하는 현대카드·캐피탈을 제외한 카드업계에선 “복합할부금융의 등장으로 현대차 할부 시장에서 현대카드·캐피탈의 압도적인 점유율이 줄자 폐지를 요구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현대차는 최근 주요 카드사들에 복합할부금융의 가맹점 수수료율을 0.7%로 낮춰달라고 요구했고, 이를 들어주지 않으면 관련 상품을 판매하지 않겠다는 별도 계약을 요구했다.
그러나 여신전문금융업법에 따르면 대형 가맹점은 우월한 지위를 이용해 카드사에 부당하게 낮은 수수료율을 요구할 수 없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가 요구한 수수료율은 원가 이하 수준이며 별도 계약을 요구한 것도 금융 당국의 정책과 배치된다”며 “독과점 유지에 미련을 못 버리고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현대차도 이제 복합할부금융을 인정해야 한다”며 “현대차의 추후 행보에 법 위반 소지가 있으면 조사하겠다”고 말했다.
천지우 기자 mogul@kmib.co.kr
車 복합할부금융 폐지않기로, 폐지주장자 현대차는 카드사에 수수료율 인하요구
입력 2014-08-30 0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