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 아사히 VS 보수 요미우리… 위안부 보도 충돌 일본판 ‘언론전쟁’

입력 2014-08-29 05:46 수정 2014-08-29 09:11
일본의 대표적인 진보 성향 아사히신문과 보수 성향의 요미우리신문이 일본군 위안부 강제연행과 이에 따른 고노(河野) 담화 수정 문제를 놓고 정면충돌했다. 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과거 일부 기사를 취소해 일본 내 보수·우익세력으로부터 공격을 받아온 아사히신문은 28일 ‘군 위안부 문제의 본질은 바뀌지 않는다’는 반박 보도를 냈다. 이에 요미우리신문이 이날 오후 이례적으로 재반박 기사를 자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실었다. 일본판 ‘언론전쟁’이 발발한 모양새다.

아사히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이 한국의 제주도에서 많은 여성을 강제연행했다’고 말한 전직 군인 출신 요시다 세이지(吉田淸治·사망)의 증언을 허위로 판단, 관련 기사를 취소했지만 그의 주장은 고노 담화에 반영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자사의 기사 취소를 계기로 보수·우익세력이 고노 담화의 근간이 무너졌다고 주장한 데 대해 강력 반박한 것이다. 신문은 “고노 담화가 문제 삼고 있는 건 단순히 ‘강제연행’에 있는 것이 아니라 여성의 자유 의사를 박탈한 ‘강제성’”이라고 지적했다.

아사히 보도가 큰 파장을 일으키자 몇 시간 뒤 요미우리는 “고노 담화는 당시 한국과의 정치적 목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요시다 증언을 참작하지 않은 것”이라고 재반박에 나섰다. 특히 아사히의 전직 서울특파원을 인용해 “일본 정부가 과거 고노 담화를 낼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든 아사히 보도에 책임이 있다”고 공격했다.

요미우리는 앞서 ‘아사히신문의 위안부 보도 검증’이라는 특집기사도 내보냈다. 아사히 보도가 고노 담화 작성에 영향을 미쳤고 이로 인해 ‘조직적 강제 연행’이라는 잘못된 역사가 확산되는 계기가 됐다는 게 골자다. 극우 성향의 산케이신문은 사설에서 고노 담화를 대체할 새로운 담화 발표와 고노 요헤이 전 관방장관의 국회 소환을 촉구했다.

아사히도 쉽게 물러서지 않을 태세다. ‘아사히신문-매국의 DNA’란 제목의 특집기사가 예고된 보수성향 주간지 ‘주간문춘’이 자사에 광고 게재를 요청하자 이를 거부하는 등 강경한 입장을 고수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