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가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전환된다. 일정 수준만 넘으면 영어 점수가 대입에서 걸림돌이 되지 않게 해 사교육비와 수험생 부담을 줄이겠다는 취지다. 도입 시기는 현재 중학교 3학년이 대입을 치르는 2018학년도로 예상된다. 입학정원 감축을 유도하는 대학 구조조정은 내년부터 중단된다. 이를 위해 부실 대학들에 정부가 재정 지원을 중지하는 '재정지원 제한 대학 제도'는 폐지된다.
황우여 교육부장관은 2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적지 않은 교육정책 변화를 예고했다. 우선 수능 영어 절대평가 도입 방침을 밝힌 점이 주목된다. 황 장관은 "(수능 영어) 절대평가를 심도 있게 논의하고 큰 방향으로 잡고 있다"고 밝혔다. 교육계와 학계에서 진행됐던 절대평가 도입 논란에 종지부를 찍은 것이다. 그는 "과도한 사교육 시장과 수십 년에 걸친 영어 투자가 무슨 결실을 냈는지 근본적인 의문이 생긴다"면서 "해외에서 소통할 수 있는 수준을 (초중등 영어교육의) 목표로 하고 심화·전문화 과정은 대학에서 가르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주요 입시 요강의 변화는 3년 전에 예고하도록 하고 있어 2018학년도 수능부터 영어 시험은 절대평가가 될 전망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대입 예측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조기 도입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절대평가 도입 전에는 '과도 기간'을 둘 것으로 보인다. 황 장관은 "3년 예고를 하더라도 큰 충격이 될 수 있어 중간 단계를 고려하고 있다"며 "연착륙할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절대평가 도입 전까지 수능 영어를 쉽게 출제하는 방식으로 충격을 완화할 전망이다. 만점자가 5.37%로 역대 가장 쉬웠던 지난 6월 모의평가처럼 사실상 변별력을 없앤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대학 구조조정과 관련해서는 방향 전환을 예고했다. 황 장관은 "대학 구조조정의 올바른 방향은 정원 축소가 아니라 대학교육의 질 제고를 통해 경쟁력을 높이는 데 있다"며 "해외동포 700만명, 외국 근로자 100만명이 있다"고 말했다. 국내 대학의 경쟁력을 높여 해외 유학생 등을 유치해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의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접근이다. 또한 올해로 정부 재정지원 제한 제도를 끝내겠다고 밝혔다. 나아가 "평가와 재정 지원을 연계하는 방식은 신중해야 한다"며 "정책마다 재정을 연결시키면 정책에 대한 비판 기능을 마비시킨다"고 말했다.
세종=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현재 中 3학년부터 수능 영어 절대평가
입력 2014-08-28 04:35 수정 2014-08-28 1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