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폭탄 피해’ 부산시, 재난대응 매뉴얼 대폭 수정… 사전예보제 강화·긴급전화 직원 확충

입력 2014-08-28 03:46
경남경찰청이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덕곡천 물에 휩쓸린 시내버스 내부의 블랙박스 영상 일부를 27일 공개했다. 이 사고로 탑승객 7명 가운데 6명이 숨졌고 1명은 실종 상태다. 집중호우로 불어난 물에 떠내려가던 25일 오후 2시47분16초부터 26초까지의 10초간 동영상을 한 컷씩 캡처한 것이다. 버스가 급류에 휩쓸리기 시작하자 놀란 승객들이 앞으로 몰려든 뒤 불안하게 서 있다. 불과 10초 사이에 버스 바닥부터 물이 차오르기 시작하자 승객이 크게 당황하는 모습이다(왼쪽부터). 연합뉴스

시간당 최고 130㎜의 집중호우로 인명피해와 함께 도심 기능이 마비된 부산시가 소방, 경찰 등과 함께 재난대응 매뉴얼의 대폭 수정에 나섰다.

부산지역에는 지난 25일 오후 2∼5시 호우경보 속에 시간당 최고 130㎜의 ‘물폭탄’이 쏟아졌다. 집중호우로 5명이 사망하고 도로·주택·농경지 등 침수피해 1387건, 산사태 3건, 도로붕괴·침하 51건, 하수 역류·토사 유출 65건 등 모두 1506건의 피해를 입었다.

이 같은 피해에 대해 전문가들은 부산시와 소방, 경찰 등의 유기적인 재난대응체계에 문제점이 많다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부산시의 ‘120’, 부산소방본부의 ‘119’, 부산경찰청의 ‘112’ 등 각종 긴급전화의 경우 용량 부족 등으로 대형 재난 앞에 무용지물이 됐다.

지난 25일 오후 3시쯤 부산 온천동 지하차도에서 차량 침수로 할머니와 손녀 등 2명이 숨진 사망사건의 경우 차량을 운전한 박모(39·여)씨가 30여분간 교대로 119와 112를 호출했지만 “대기자 70명”이라는 자동안내 답변만 듣다 어머니와 딸을 잃은 것으로 드러났다.

부산소방본부의 경우 평상시 11회선으로 119 전화를 받고 있는데 25일에는 30회선으로 늘렸지만 하루 평균의 3배인 6000여건이 접수됐다. 부산경찰청은 평소대로 16회선의 112 신고전화망을 운영했다. 부산시는 민원전화인 120바로콜센터의 직원을 20명으로 배 가까이 증원했지만 폭주하는 전화에는 속수무책이었다. 결국 세월호 참사 이후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으려고 다양한 시스템을 마련한 행정기관들의 노력도 실효성이 없다는 것이 3개월여 만에 드러났다.

이에 따라 시와 소방본부, 경찰청 등은 공조체계를 개선하고 인력과 장비를 보강하는 등 대책 마련과 함께 재난대응 매뉴얼에 대한 대대적인 수정에 들어갔다.

시는 사전 예보제를 강화하고 민원전화 120의 직원을 확충하기로 했다. 경찰도 112회선을 대폭 늘리고 초기대응 시간을 줄이려고 마련한 공청 시스템을 개선하기로 했다. 소방본부는 119회선 증설과 함께 1339(응급의료정보센터)를 분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동의대 류상일(소방행정학과) 교수는 “모든 신고전화를 911로 받는 미국처럼 우리나라도 이원화된 경찰과 소방의 신고전화를 통합하고 예측 가능한 재해 때는 신고전화 회선과 근무자를 늘리는 특별근무체제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