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커뮤니케이션과 카카오가 합병의 마지막 관문인 주주총회에서 합병 승인을 받았다. 10월 1일부로 통합법인 ‘다음카카오’가 출범하면 시가총액 10조원이 넘는 거대 IT기업이 된다. 네이버가 독식하고 있는 국내 인터넷 환경에 큰 변화를 몰고 올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무엇보다 통합법인을 이끌게 된 김범수 카카오 의장의 역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다음커뮤니케이션과 카카오는 27일 각각 주총을 열고 합병계약 체결 승인 안건을 의결했다. 사내이사로는 김 의장, 이석우 카카오 공동대표, 최세훈 다음 대표이사 등 3명이 선임됐다. 김 의장은 다음카카오의 최대 주주이기도 하다.
다음카카오는 양사 공동대표 체제로 운영될 전망이다. 공동대표는 이 대표와 최 대표가 맡게 될 가능성이 높다. 김 의장은 카카오에서 그랬던 것처럼 사업의 큰 방향을 제시하고, 신규 사업 개발에 관여할 것으로 전해졌다. 카카오 관계자는 “(김 의장이) 어떤 역할을 맡게 될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지난 5월 26일 합병 발표 이후 결제·금융·택시 등 잇달아 신규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음카카오가 합병하면서 목표로 한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정보-생활 플랫폼’에 대한 밑그림을 카카오가 먼저 가시화하고 있는 셈이다. 합병 승인이 이뤄짐에 따라 다음카카오의 신규 사업 개발은 더욱 탄력을 받게 됐다. 이 대표는 주총에서 “다음카카오는 IT·모바일 분야에서 커뮤니케이션, 정보, 그리고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까지 아우르는 생활 플랫폼 사업자로 성장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두 회사는 합병으로 몸집도 커진다. 다음의 시가총액은 약 2조2000억원이다. 여기에 카카오의 기업가치를 더하면 시가총액이 10조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카카오 주식은 장외시장에서 주당 24만∼25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시가총액이 26조원 안팎인 네이버보다 규모가 작지만 경쟁할 정도의 크기를 갖추게 됐다. 다음카카오가 정식으로 출범하면 현재 시가총액 1위인 셀트리온(약 4조2000억원)을 제치고 코스닥을 대표하는 기업이 될 수 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
시가총액 10조… 거대 IT기업 ‘다음카카오’
입력 2014-08-28 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