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와 교육부가 전국 200개 초·중·고등학교 학생 11만6000명을 대상으로 통일의 필요성을 물어본 결과 절반가량만 ‘통일이 필요하다’(53.5%)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5명 중 한 명은 ‘불필요하다’(19.7%)고 생각했다. ‘보통이다’는 26.1%였다.
27일 정부 차원의 첫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에서 학생들의 통일 필요성 인식 수준이 낮은 게 확인된 것이다. KBS가 이달 초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통일 의식조사에서는 “통일이 필요하다”는 답변이 73.0%였다.
특히 학년이 올라갈수록 통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통일이 필요하다’는 답변은 초등학교 71%에서 중학교로 넘어가면서 54.3%로 뚝 떨어졌고, 고등학교는 47.8%로 절반이 안 됐다. 학교 통일교육이 엉망이란 얘기다. 통일이 불필요한 이유로 학생들은 경제적 부담·사회혼란(45.4%), 북한체제 거부감(33.7%), 남북한 이질감(7.7%) 순으로 택했다.
학생들의 북한에 대한 생각은 ‘협력 대상’(48.8%)이 ‘적대시 대상’(26.3%)보다 많았다. 하지만 북한이 전쟁을 다시 일으킬 가능성에 대해선 ‘높다’(58.7%)고 답한 학생이 ‘보통’(27.4%) ‘낮다’(12.4%)보다 월등히 많아 불안감이 적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교사 3130명을 대상으로 연간 학교 통일교육 시간을 묻는 조사에서는 5시간 이하가 66.2%였고 6시간 이상은 30.8%에 불과했다. 통일부와 교육부는 현재 매년 5월 말 한 주간 실시 중인 통일교육주간을 2월에도 각급학교가 관련 수업을 하도록 권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6월 23일∼7월 11일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학생은 ±0.28% 포인트, 교사는 ±1.75% 포인트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
학생 53.5%만 “통일 필요”… 초·중·고 11만6000명 설문
입력 2014-08-28 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