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유가족과 직접 대화… ‘세월호法’ 돌파구 모색

입력 2014-08-27 03:09
새누리당이 세월호 참사 유가족들과의 직접 대화로 특별법 협상 돌파구를 찾고 있다. 법 테두리 내에서 유가족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반영하겠다는 약속을 통해 민심을 누그러뜨리고, 대화 테이블을 박차버린 야당을 압박하겠다는 전략이다.

이완구 원내대표는 27일 국회에서 두 번째로 세월호 유가족들을 만난다. 25일 첫 면담이 서로에게 쌓인 오해를 풀고 각자 입장을 설명하는 자리였다면 두 번째 자리는 보다 구체적이고 진전된 세월호 특별법 논의가 될 전망이다.

새누리당 핵심 당직자는 26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어떤 일이든 첫 술에 배부를 순 없다”면서 “서로 대화가 되는 상대라는 걸 확인했기 때문에 두 번째는 한 발 더 나아간 얘기들이 오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직자는 “진정성을 갖고 대화하면 세상에 풀지 못할 일이란 없다”고도 했다. 타협안 최종 도출을 기대하긴 이르지만 양측이 핵심 쟁점에 대해 상당 부분 의견 접근을 이룰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이다.

새누리당은 유족들의 진상조사위원회 수사권 부여 요구에 대해 수사권을 주는 대신 그에 준하는 권한을 행사할 수 있도록 여러 장치를 마련하는 방향으로 정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첫 면담에서 새누리당 지도부가 세월호 참사 희생자 가족대책위원회 측 변호인에게 수사권을 부여할 수 없는 이유를 조목조목 설명했고 유가족도 이에 대해서만큼은 이해의 폭을 넓혔다고 한다. 새누리당이 유가족과 타협안을 마련한다면 두 차례나 협상안을 뒤집었던 야당은 고립을 넘어 회복 불가능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형식적인 만남에 그칠 뿐 성과는 없을 것이란 비관적 관측도 있다. 우선 새누리당은 새정치연합이 내놓은 여야·유가족 3자 협의체 구성에 대해 수용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특별법 제정은 여야가 풀어야 할 문제란 인식이 확고해 현재로선 여야 대화의 장이 마련되기 힘든 상황이다. 여당이 유가족에게 확답을 주지 않고 시간만 끌면 비난여론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

이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새정치연합의 총력 투쟁을 거론하며 “난감하다. 이래도 되는 건지 걱정스럽다”고 착잡한 심정을 드러냈다. 그러나 “야당을 국정의 파트너로 존중해가면서 인내를 갖고 대화하겠다. 몽둥이를 맞더라도, 쓸개를 빼놓고라도 하겠다”며 대화의 문은 열어놨다.

반면 정우택 의원은 단식 중인 새정치연합 문재인 상임고문을 향해 “저 양반이 과연 대통령 후보였는지 눈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장우 원내대변인도 “새정치연합은 진보꼴통당, 4류정당”이라고 공격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