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최경환 부총리-기업인 ‘소통 핫라인’ 가동… 대상은 누구? 재계 물밑 로비戰

입력 2014-08-27 04:32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기업인 간 핫라인에 포함될 기업들이 이달 중 확정될 예정이다. 기재부는 최종 대상에 60∼100개 기업 대표를 포함시키되 그룹 소속 임원은 배제할 방침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26일 “핫라인 대상 기업에 대한 최종 선별작업을 하고 있다”며 “특별한 일이 없으면 이달 안에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지난달 22일 경제 5단체장을 만나 경제계와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핫라인 가동을 약속한 바 있다. 경제 수장과 기업인의 직접 대화 창구를 만든 것은 처음이다. 이명박정부 때 대통령과 기업인 간 핫라인이 구축됐지만 사실상 공정거래위원회나 국세청 등의 조사를 막아 달라는 식의 민원창구용으로 전락했었다.

기재부는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벤처기업 등 4개 그룹으로 나눠 총 60∼100개 기업을 대상에 포함시킬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이달 초 경제 5단체(전국경제인연합회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한국경영자총협회 중소기업중앙회), 한국중견기업연합회, 벤처기업협회 등 7개 단체로부터 각각 15∼20곳을 추천받았다. 전경련의 경우 장충기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사장, 정진행 현대자동차 사장 등 재계 서열 20위 내 그룹의 대외업무 담당 사장을 추천했다.

그러나 기재부는 그룹사 소속 임원은 제외할 방침이다. 그룹 임원은 업종별로 기업의 애로사항을 듣겠다는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판단이다. 대신 계열사 대표들이 최 부총리와의 직접 소통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삼성이 핫라인에 포함될 경우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아니라 권오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원기찬 삼성카드 사장, 김창수 삼성생명 사장 등이 포함되는 식이다.

선정 기준 역시 재무구조가 튼실한 기업 중에서 업계 의견을 잘 대변하고 리더십을 갖춘 기업인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 이미 기재부는 최 부총리의 핫라인용 휴대전화와 이메일 계정을 새로 만들었다. 해당 기업인들은 최 부총리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투자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 건의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건의 내용 중 일부는 분기별로 열릴 정부-경제계 간 정례 협의회에 안건으로 오른다.

재계는 어떤 기업이 최종 선정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핫라인 대상에 들어가기 위해 치열한 물밑 로비전을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단체들도 직접 추천한 기업들에 대한 언급을 꺼리고 있다. 한 경제단체 관계자는 “기업 입장에서는 경제 수장에게 고충을 털어놓을 창구가 있다는데 당연히 포함되고 싶을 것”이라며 “추천 작업을 했다는 사실조차 말하기가 조심스럽다”고 밝혔다.

기재부 관계자는 “핫라인이 기업 민원창구로 변질될 우려를 방지하기 위해 대상 기업을 대외비에 부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