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의 25일 의원총회는 대여(對與) 강경론이 대세를 이뤘다. 길거리 투쟁론과 국회일정 보이콧 주장까지 튀어나왔다. 세월호 희생자 유가족과 여야의 3자 협의체를 제안했지만 새누리당이 거듭 거부의사를 밝히자 당 내부의 강경파 의원들이 너나없이 백가쟁명 식 비판을 쏟아낸 것이다.
야당이 일단 8월 임시국회의 분리 국감을 제쳐놓고 세월호 특별법 문제에 '올인'하기로 결정하면서 안 그래도 차가워진 정국은 더 급속도로 냉각될 전망이다.
하루 종일 이어진 의총에서는 여야와 세월호 유가족 간 3자 협의체가 거부될 경우 끝까지 투쟁하겠다는 강경 노선을 확정했다.
일부 강경파는 의원직 총사퇴부터 장외투쟁까지 다양한 아이디어를 쏟아냈다. 호남의 재선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의원직 총사퇴를 비롯해 팽목항에서 서울까지 도보행진하자는 안까지 나왔다"고 전했다. 세월호 특별법 관련 기존 여야 합의안을 전면 백지화하자는 요구도 제법 나왔지만 지도부가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학영 의원은 "선수가 두 번 케이오(KO) 당했으면 국민과 함께 밖에 나가 싸워야 하는 것 아니냐"며 장외투쟁을 주장했다. 정청래 의원 역시 "제도권 밖에서 국민의 힘에 의존해야 한다"고 가세했다. 세월호 유가족들이 단식농성 중인 서울 광화문광장 등 국회 밖에 아예 농성장을 차리자는 의견들도 제기됐다.
박범계 원내대변인은 의총 후 기자들과 만나 "숨을 쉴 수 없을 정도였다"고 분위기를 전하기도 했다. 한 중진의원은 "무겁고 우울한 분위기 속에 진행됐고, 혼란스럽게 느끼는 의원이 많았다"고 털어놨다.
투쟁 방식은 원내대표단에 위임됐다. 때문에 이를 놓고 강경파와 온건파 간 충돌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한 수도권 재선 의원은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에게 협상과 투쟁 모두 맡기자는 의견이 많았다"며 "박 위원장의 정치력을 한 번 더 지켜보자는 것"이라고 했다.
박 위원장의 사퇴를 주장하는 의원들도 있었지만 사퇴론이 거세게 일지는 않았다. 5선 중진인 이미경 의원을 비롯해 유승희 홍익표 은수미 의원 등이 직간접적으로 거취 문제를 언급했다고 알려졌다. 이 의원은 원내대표와 비대위원장직 분리론을, 홍 의원은 지도체계의 전면 재구성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원내부대표단 등 상당수가 "지금은 박 위원장을 중심으로 단결하고 (박 위원장에게) 힘을 실어줄 때"라고 엄호에 나섰고, 일부 중진도 지원사격에 가세해 거취 문제는 큰 논란이 되지 않았다. 한 수도권 초선의원은 "박 위원장이 서두에 사과를 하고, 3자 협의체에 대해 유족과 상의했다고 설명한 것이 진정효과가 있었던 것 같다"고 전했다. 세월호 유가족과 박 위원장의 면담 이후 오후 8시 속개된 의총에서는 투쟁 방식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뤄졌다. '예결위 회의장 점거농성' 등 다양한 투쟁 방식에 대해 열띤 토론이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승욱 임지훈 기자 applesu@kmib.co.kr
[여야 세월호법 대치] 野 의총 강경파 뜻대로…“3자협의 거부땐 강경투쟁”
입력 2014-08-26 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