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판국에 계파 목소리만… 새정치연합 ‘다중 권력’ 양상

입력 2014-08-26 03:57
새정치민주연합이 세월호 특별법 정국에서 ‘다중 권력 상태’를 드러내고 있다. 당 지도부는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비상대책위원장)이 이끌고 있지만 대선주자였던 문재인 상임고문을 중심으로 한 ‘광화문 광장 그룹’과 ‘원내대표의 위원장 겸임 반대’를 내세운 다선·중진 의원 등이 제각각 목소리를 내고 있다. 표면적 이유는 세월호 특별법 처리를 둘러싼 의견 다툼이지만 이면에는 차기 당권 경쟁과 지역위원장 선정을 둘러싼 권력 투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새정치연합에서는 세월호 특별법을 계기로 박 위원장과 차기 당권 주자들의 갈등이 분출됐다는 해석이 많다. 실제 25일 의원총회에서도 박 위원장의 차기 전당대회 출마 여부를 묻는 발언이 나왔다. 주승용 의원 등은 “박 위원장이 차기 전당대회에 출마하기 위해 준비를 하려 한다는 시선이 있다. 그런 오해를 불식시켜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조정식 사무총장은 “지금 지도부는 차기 전당대회 뒤 다 떠날 사람들인데 박 위원장이 출마한다는 건 말이 되지 않는 이야기”라고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내에서는 박 위원장이 세월호 특별법에 전격 합의하자 ‘자기 정치를 한다’ ‘강경 이미지를 희석해 차기 주자로 나서려 한다’는 말들이 끊이지 않았다.

박 위원장 측은 오히려 겸임 반대에 나선 중진들이 계파 이익을 위해 지도부를 흔들고 있다는 생각이 강하다. 박 위원장 측은 “박 위원장이 당 혁신을 주도할 경우 중진들이 ‘설 땅이 없어지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 때문에 흔들고 있는 것 아니겠느냐”며 “입김을 넣을 수 있는 사람을 꽂아 계파별로 나눠먹기 하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당의 다른 관계자도 “전임 당 대표들은 최고위원들의 견제가 있었지만 지금 박 위원장은 사실상 독주할 수 있는 구조”라며 “차기 전당대회를 염두에 두고 있는 중진들이 대중성을 가진 박 위원장 견제에 나선 것”이라고 말했다. 친노(친노무현)계 문재인 고문이 광화문 단식 농성에 나선 것도 차기 당권 경쟁을 위한 것이라는 말들이 나오고 있다.

내년 1월로 예정된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지도부는 2016년 총선 공천권을 행사하게 된다. 계파별로 양보할 수 없는 싸움이어서 출마 러시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당 비상대책위원회는 차기 전당대회의 전초전이라고 할 수 있는 조직강화특별위원회(조강특위) 구성 권한도 갖고 있다. 새정치연합의 한 관계자는 “비상대책위의 가장 핵심은 지역위원장을 임명하는 조강특위 구성”이라며 “비대위는 246개 지역위원장 중 현역 의원이 없는 110개 정도 지역구를 둘러싼 싸움을 정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차기 당권 주자 입장에서는 지역위원장을 얼마나 더 확보하느냐에 따라 전당대회 결과가 좌우되기 때문에 조강특위 구성에 예민할 수밖에 없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