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자동차의 상반기 내수 점유율이 2년 연속 하락하며 7년 만에 70% 아래로 떨어졌다. 수입차 입지가 나날이 커지는 탓에 현대·기아차가 70%대를 되찾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5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자동차 신규등록 기준으로 올해 1∼6월 현대차와 기아차의 점유율은 각각 42.7%, 26.8%로 도합 69.5%에 그쳤다. 현대·기아차의 상반기 점유율이 70% 아래로 떨어진 건 69.0%를 기록한 2007년 이후 처음이다. 기아차는 2010년부터 3년 연속 유지하던 30%대 점유율이 지난해 무너졌고 현대차도 40%대 초반에 머물고 있다.
현대·기아차의 상반기 내수 점유율은 2008년 71.7%로 올라선 뒤 2009년 78.0%까지 치솟으며 최고점을 찍었다. 기아차가 2007년 20.8%에서 이듬해 23.8%, 2009년 29.5%로 꾸준히 상승한 덕이 컸다. 같은 기간 현대차는 48.2%에서 47.9%로 내려갔다가 다시 48.5%로 되돌아왔다.
2010년에는 기아차가 31.0%로 오르며 30% 선을 돌파했지만 현대차가 41.0%까지 주저앉는 바람에 두 회사의 점유율은 72.0%로 추락했다. 이어 2011년 73.8%, 2012년 75.0%로 상승세를 타는 듯하다 지난해 71.1%로 떨어졌고 올해는 70%를 밑돌게 됐다.
현대·기아차의 점유율 하락은 수입차의 시장 잠식과 맞물려 있다. 상반기 기준으로 2007년 4.5%였던 수입차 점유율은 올해 3배 가까운 12.4%로 늘었다. 수입차 점유율은 금융위기 여파로 2008년 5.7%에서 2009년 5.1%로 한 차례 하락했을 뿐 매년 상승세를 타다 지난해 10%대를 넘겼다.
이런 기세 때문에 현대·기아차가 내수 점유율 70%대를 회복하기 쉽지 않을 것이란 시각이 많다. 2007년과 올해는 시장 환경이 다르다는 얘기다. 2007년에는 현대차가 GM대우, 르노삼성 등 국내 완성차 업체와 경쟁하는 구도였지만 지금은 기술력 면에서 앞선 수입차와 경쟁해야 하기 때문이다.
당장 현대차와 기아차를 제외한 국내 완성차 제작업체 3사의 점유율이 수입차에 밀리고 있다. 2007년 상반기 GM대우(11.1%) 르노삼성자동차(9.3%) 쌍용자동차(4.9%)가 모두 수입차(4.5%)를 앞섰다. 하지만 올 상반기에는 수입차(12.4%)가 한국GM(9.3%) 쌍용차(4.1%) 르노삼성(3.7%)을 모두 제쳤다. 이 기간 3사의 점유율은 25.3%에서 17.1%로 낮아졌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
현대차 내수 점유율 뒷걸음질… 70% 깨져
입력 2014-08-26 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