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세월호法’ 국회 농성 돌입

입력 2014-08-26 05:11
새정치민주연합이 25일 세월호 특별법 처리를 위한 대여 강경투쟁을 선언했다. 여야 및 유가족이 참여하는 '3자 협의체'를 새누리당이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분리 국정감사 보이콧이 기정사실화됐다. 야당이 사실상 국회 의사일정 전면거부 수순을 밟으면서 타협을 위한 최소한의 안전핀마저 제거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그러나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와 세월호 희생자 유가족 대책위원회의 면담에서 대화채널이 구축되면서 막판 돌파구가 마련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새정치연합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국회 원내대책회의에서 자신이 전날 제안한 3자 협의체 구성에 대해 "오늘까지가 시한"이라며 "새누리당이 거절하면 강도 높은 대여 투쟁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박 위원장은 비공개 의원총회에서는 "3자 협의체는 유가족 대표들과 입장을 조율한 것"이라고 말했다고 참석 의원들이 전했다. 박 위원장 등 원내지도부는 자정쯤 끝난 의총 직후 국회 예결위장 농성에 들어갔다.

박범계 원내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끝까지 싸울 것"이라며 "싸우는 방식은 당 지도부에 위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로써 26일부터 예정됐던 분리 국감은 무기한 연기됐고, 9월 정기국회의 주요 민생·경제법안 처리 역시 올스톱될 가능성이 있다. 새정치연합은 26일 오전 10시 국회에서 대국민호소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박 위원장은 지난 4일 비대위원장에 선출된 뒤 대여 협상론을 고수했다. 그러나 강경파와 유가족들을 설득하지 못한 채 3주 만에 대여 강경론으로 선회했다. 그는 의총에서 "심려를 끼쳐 송구하다. 제가 모자란 탓"이라며 고개를 숙였다. 세월호 특별법 여야 원내대표 합의안이 두 차례나 의총에서 추인 받지 못한 데 대한 사과다. 중진 그룹을 중심으로 한 당 일각에서는 비대위원장 사퇴 요구도 제기되고 있다.

새누리당 이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3자 협의체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지만, 유가족들과의 만남 직후 "상호 간 허심탄회한 대화로 그간의 오해를 씻었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유족들과 진정성을 갖고 계속 대화하기로 했다"고도 했다.

》 관련기사 3·4면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