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불붙는 ‘영남 신공항’ 논란] “김해공항 2023년쯤 포화”… 밀양-가덕도 유치전 재연

입력 2014-08-26 03:36
항공수요가 급증하면서 2023년쯤엔 김해공항이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영남지역 신공항 건설을 전제로 사전 타당성 조사에 착수키로 했다. 신공항 후보지로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는 경남 밀양과 부산 가덕도를 두고 지방자치단체 간 유치전도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교통부는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영남지역 항공수요 조사 연구’ 용역 최종 보고회를 열고 김해공항 등 영남지역 5개 공항의 장래 항공수요 예측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프랑스 파리공항공단(ADP·국제선)과 한국교통연구원(국내선)이 수행했다.

김해공항은 이용객이 빠르게 늘고 있다. 2009년 687만명에서 지난해 967만명으로 매년 8.9% 정도 증가했다. 2030년엔 2162만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2023년쯤엔 1678만명이 몰려 이 때부터 제 기능을 하기 힘들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대구공항도 지난해 이용객 108만명에서 2030년엔 배가 넘는 278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울산·포항·사천공항 역시 2030년까지 소폭 증가세(연평균 1.2%)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지만 활주로의 수용 능력을 넘어설 정도는 아니었다.

정부가 신공항 타당성을 또 들고 나온 것은 저비용 항공사의 급성장으로 이용객이 늘어 공항이 혼잡해진 점이 크게 작용했다. 김해공항 국제선의 경우엔 2009년 저비용 항공사 비중이 6%에 그쳤으나 지난해에는 37%로 급증했다. 같은 기간 운항 편수도 1주일에 24개 노선 424편에서 30개 노선 732편으로 크게 늘었다. 최정호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이번 수요조사 결과 장래 영남지역 항공수요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영남지역에 신공항을 설립하기 위해 입지·규모·경제성 등을 검증하기 위한 사전 타당성 조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앞으로 더욱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인 관광객을 수용하기 위해서라도 정부는 신공항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실제 청주공항의 경우 개항 첫해인 1997년 이용객이 37만743명에 불과했지만 중국인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지난해 역대 최고치인 137만8604명을 기록했다. 2002년 개항한 강원도 양양공항도 이용객이 계속 줄어 2009년 3034명에 그쳤지만 2010년 중국 상하이 노선이 개설되면서 되살아났다. 올 7월까지 16만1898명이 이용, 지난해 같은 기간(2만5415명)보다 6.4배나 늘었다. 정부는 급증하는 중국인 관광객을 끌어안기 위해 호텔·카지노 등을 갖춘 복합 리조트 설립, 중국인 관광객 전용 케이블TV 신설, 한강 관광자원 활용,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 등을 추진 중이다.

문제는 입지다. 대구·경북이 지지하는 경남 밀양과 부산이 주장하는 부산 가덕도가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신공항 건설 문제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05년 노무현정부 당시 김해공항의 포화상태를 해결하기 위해 신공항이 필요하다는 논의가 처음 거론됐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2007년 신공항 건설을 대선 공약으로 내걸었지만 두 차례 타당성 조사 결과 두 곳 모두 경제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사업이 무산된 바 있다. 하지만 박근혜 대통령이 대선 때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영남권 신공항 계획은 다시 추진되고 있어 이번에 어떻게 결론날지 주목거리로 등장했다.

논란이 확대될 경우 신공항 건설을 하지 않고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방법으로 장래 수요를 메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국토부가 신공항 건설을 직접 얘기하지 않고 ‘장래 항공수요에 대비한 대책’이라고 에둘러 표현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최 실장은 “여러 가지 대안을 놓고 타당성 검사를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