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불붙는 ‘영남 신공항’ 논란] “신공항 건설 타당성 입증됐다” 영남권 지자체 반응은

입력 2014-08-26 03:38
국토교통부의 ‘영남지역 항공수요 조사 결과’ 발표에 대해 각 지방자치단체는 일제히 환영하며 신공항이 어디에 건설될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25일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영남지역 항공수요 조사 결과가 영남권 5개 시·도 주민들이 줄기차게 요구한 신공항 건설의 타당성과 필요성을 확실하게 입증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대구시 2층 회의실에서 아예 ‘대구·경북 공동성명서 발표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권영진 대구시장과 김관용 경북지사는 “정부는 남부권 경제공동체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와 공동 발전을 위해 특정 지역이 아니라 남부권 지역 전체의 이익에 최대한 부합하도록 통합 신공항을 건설해야 한다”며 “통합 신공항은 남부권 경제공동체의 공동 발전을 위한 필수 기반시설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남부권 공히 이용이 편리한 위치에 건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신공항은 남부권 전체 항공 여객 및 물류 수요를 감당하고 남부권 경제공동체 발전을 뒷받침할 수 있는 충분한 규모로 건설돼야 한다”며 “정부는 가장 공정하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투명한 절차에 따라 신공항 건설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와 경북은 남부권 신공항 대토론회를 지난해 9월 12일 대구 엑스코에서 여는 등 지속적인 노력을 해 오고 있다. 대구·경북상공회의소와 새누리당 대구시·경북도당 등의 공동 주최로 열린 이 토론회는 토론자 700여명이 30여개 조로 나눠 진행됐다. 이어 결의문을 채택했다.

토론회를 제안했던 이철우 새누리당 경북도당위원장은 “국제화 시대에 국제공항이 없기 때문에 대구와 경북 지역이 변방으로 밀려나고 있다”며 “신공항 필요성 공감대를 지속적으로 확산시키겠다”고 말했다.

부산시와 경남도 역시 기대를 걸고 있다. 부산시는 “객관적인 조사 결과”라며 “앞으로 공항 입지의 필요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입지 타당성 조사 결과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경진 부산시 행정부시장은 브리핑을 통해 “국토교통부 항공수요 조사가 현실성을 바탕으로 한 공정하고 객관적인 수요조사 결과를 도출했다”며 “정부가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 이행을 위해 신공항 건설의 첫 단계인 항공수요 조사를 완료함에 따라 부산의 숙원이었던 신공항 건설이 이제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대구·경북 등 다른 4개 시·도와 함께 국가 발전과 영남권의 백년대계를 위해 안전하고 24시간 운영 가능한 허브 공항이 조기에 건설될 수 있도록 계속 협력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이번 수요조사에서 영남지역 공항 가운데 유일하게 김해공항만이 2023년 활주로 포화 상태를 빚을 것으로 나타난 만큼 김해공항보다 입지가 좋은 곳을 선택해야 된다”고 말했다.

항공 전문가들에 따르면 김해공항보다 입지가 좋으려면 ‘반경 15㎞ 이내에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도로 등 접근성도 따져야 한다.

부산에서는 김해공항의 가덕도 이전확장 외에는 대안이 없다는 여론이 우세하다.

경남도도 관심을 표명했다. 홍준표 지사는 “수요가 검증된 만큼 입지 타당성 조사가 조속히 진행돼야 한다”는 원론적 입장을 밝혔다. 홍 지사는 이어 “전문가 그룹의 공정하고 객관적인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고 탈락지에 대해서는 신공항에 상응하는 국책사업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