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교 교복값 싸질까?

입력 2014-08-25 03:35
학교 주관으로 경쟁 입찰을 붙여 교복을 대량 구매하는 ‘교복 학교주관 구매제’가 내년 정상 운영될 전망이다. 일부 교복 업체들의 조직적 반발로 도입이 불투명했으나 스마트에프앤디 등 교복 업체 6곳이 동참하면서 탄력을 받게 됐다. 실제 교복값 인하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교육부는 제도 시행을 앞두고 교복 업체·단체들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스마트에프앤디, 대한학생복체육복공업협동조합, 김설영학생복, 대전충남학생복사업협동조합, 한국학생복사업자협의회, e-착한학생복협동조합 등이 참여했다. 교복 상한가 준수, 입찰 불참·부적절한 납품 행위 금지 등을 약속했다. 업무협약에 참여한 업체들의 시장 점유율은 50% 수준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난해 동복 평균 가격은 24만원 정도였는데 (이 제도로) 16만∼17만원 수준으로 떨어졌다”며 “제도 정착을 위해 다른 업체의 참여도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도 보완책도 나왔다. 단독 입찰에 의한 유찰은 학교장이 단독 응찰 업체와 협상해 당초 응찰가 이하로 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했다. 최근 일부 업체들이 모의해 집단으로 입찰에 참여하지 않는 방식으로 유찰을 유도한다는 의혹이 일었는데, 이런 ‘꼼수’를 봉쇄하겠다는 뜻이다. 또한 경쟁 입찰로 낙찰받은 사업자가 학부모 만족도 조사에서 합격점을 받으면 다음연도 계약에서 우대받도록 했다.

업계 요구도 일부 수용했다. 경쟁 입찰로 낙찰받은 업체는 내년 1년에 한해 희망 학생들에게 신품 낙찰가 이하의 가격으로 재고를 처분할 수 있다. 시도 내 업체만 입찰하도록 제한한 규정은 교육청 판단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토록 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