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윤회씨 소환조사에 靑 “상황 예의주시”… 좀 더 지켜본 뒤 후속조치 검토

입력 2014-08-25 03:49
청와대는 검찰의 일본 산케이신문 가토 다쓰야 서울지국장 처리 과정과 결론에 대해 일단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24일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세월호 사고 당일인 지난 4월 16일 박근혜 대통령의 행보에 대한 산케이신문 보도에 엄정한 대응방침을 분명히 했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최근 “입에 담기도 부끄러운 것을 기사로 썼다”며 민·형사상 책임을 끝까지 묻겠다는 공식입장을 밝힌 바 있다. 다만 제삼자 고발로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인 만큼 관련 상황을 지켜본 뒤 후속 조치 여부를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청와대는 이미 지난달 김기춘 비서실장의 국회 운영위원회 현안보고를 통해 사고 당일 박 대통령이 청와대 경내에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후에도 증권가 루머에 이은 산케이신문 보도, 새정치민주연합의 공세가 끊이지 않자 구체적인 보고 횟수 및 지시내용까지도 이례적으로 공개했다.

국회 세월호 국정조사특위 새누리당 간사인 조원진 의원이 청와대로부터 제출받은 답변 자료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사고 당일 청와대 내에서 21차례 서면과 유선으로 상황을 보고받았다. 청와대는 당시 답변서에서 “대통령 위치와 동선은 언제나 누구에게나 비밀로 하며 공개하지 않는다”며 “대통령은 경내에 계시면 어디서든 보고를 받고 지시를 할 수 있도록 돼 있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 집무실은 청와대 본관 2층과 비서동, 지하별관, 관저 등에 마련돼 있다. 하지만 대통령이 특정일 특정시간대에 어느 곳에 머무는지는 경호를 이유로 공개되지 않는다.

답변서는 또 “4월 16일에도 대통령은 외부 행사가 없어 줄곧 경내에 계시며 20∼30분 간격으로 21차례 유선 또는 서면보고를 받고 필요한 지시를 했다”고 적시했다.

구체적으로는 사고 당일 오전 10시 대통령에 대한 청와대 국가안보실의 서면 보고가 처음 이뤄졌고, 15분 뒤인 오전 10시15분 안보실의 유선보고가 이어졌다. 박 대통령은 이때 “여객선 객실 등을 철저히 확인해 누락 인원이 없도록 할 것”을 당부했다. 오전 10시22분 안보실의 두 번째 유선보고가 있었고, 오전 10시30분 박 대통령이 해경청장에게 유선으로 특공대를 투입해서라도 인원 구조에 최선을 다하라고 당부했다. 오전 10시36분 정무수석실의 첫 서면보고가 이뤄졌다. 밤 10시9분 정무수석실의 11번째 서면보고까지 대통령은 서면 3차례·유선 7차례(국가안보실), 서면 11차례(비서실) 등 모두 21차례 보고를 받고 지시를 내렸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