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자? 재재협상 하자는 얘기”

입력 2014-08-25 04:59
새누리당은 세월호 특별법 해법으로 새정치민주연합이 제기한 여야와 유가족이 참여하는 3자 협의체 구성을 거부했다. 하지만 당내에서도 "유가족과 직접 만나 대화하라"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어 새누리당의 고민은 깊어만 간다.

◇새누리당, "수적 열세에 빠뜨리기 위한 불순한 의도"=새누리당 핵심 관계자는 24일 새정치연합의 3자 협의체 구성 제안과 관련해 "여당에 책임을 전가하기 위한 얕은 제안"이라고 일축했다.

새누리당은 여야와 유가족이 참여하는 3자 협의체 제안을 수용하는 것이 사실상 '재재협상'을 공식화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3자 협의체를 가동하면 여야·유가족이 새로운 협상 테이블에 앉아야 하는데 이는 사실상 재재협상과 다를 바 없다는 게 새누리당의 입장이다.

새누리당은 또 3자 협의체가 형식만 3자일 뿐 사실상 1(새누리당)대 2(새정치연합과 유가족) 성격의 협의체라고 지적했다. 새정치연합과 유가족이 한목소리를 낼 경우 새누리당이 수적 열세에 빠지는 것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이다.

새정치연합이 국면전환을 위해 3자 협의체라는 카드를 불쑥 커냈다는 분석도 있다. 재합의안을 추인하지 않았다는 책임론을 피하기 위해 3자 협의체를 고안해냈다는 주장이다.

새누리당 윤영석 원내대변인이 "두 차례나 여야 합의를 파기한 새정치연합이 사과와 해명 한마디 없이 3자 협의체를 제안하는 것은 신의성실 원칙에 반하는 것"이라고 비판한 것도 이런 이유들 때문이다.

◇유가족 직접 대화 '딜레마'=그렇다고 해서 새누리당의 고민이 말끔히 해소된 것은 아니다. 새누리당이 야당에 재합의안을 준수하라고 압박만 하지 말고 세월호 정국을 풀기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라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 23일 충남 천안에서 열린 새누리당 국회의원 연찬회에서 정미경 의원은 "특검 추천권을 유가족에게 줘도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진상조사위원회에 기소권·수사권을 주는 혁신적 사고를 해야 한다"며 지도부의 전향적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 정병국 황영철 의원도 "당 대표와 대통령이 유가족을 만나 따뜻한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김무성 대표는 "유가족들을 만나야 한다면 만나겠다"면서 "언제든 유가족들이 원할 때 만남을 갖겠다"고 확답했다.

그러나 새누리당 고위 관계자는 "당 지도부가 유가족을 만나는 거야 지금이라도 당장 할 수 있다"면서 "그러나 양측의 입장차가 너무 커 만남이 아무런 성과 없이 끝나면 여론이 가만히 있겠느냐"고 우려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