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들 왜 이러나] ‘국민株’로 상장해놓고 빚 갚는데 사용

입력 2014-08-25 03:20
한국전력이 보유 자사주를 전량 매각하기로 하는 등 공기업들이 부채 감축을 위해 주식 매각에 나섰다(국민일보 6월 10일자 1·3면 참조). 그러나 국민재산 형성에 기여한다는 취지에서 국민주 방식으로 공모해 상장한 공기업들이 오히려 주가 하락을 부채질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전은 지난 5월 기획재정부에 자사주 2.95% 매각 등 수정된 부채감축계획을 보고한 데 이어 지난 21일 자사주 매각을 검토하고 있다고 공시했다. 한국가스공사도 같은 날 자사주 전량(467만5760주)을 주당 6만6000원에 처분한다고 밝혔다. 이들 공기업은 다음 달 예정된 기재부의 공공기관 중간평가에서 좋은 점수를 받기 위해 중장기적 경영계획에 포함돼 있지 않았던 자사주 매각 방침을 정했다.

그러나 두 공기업 모두 상장 당시 주가 상승에 따른 이익을 국민에게 나눠준다는 명목으로 국민주 공모를 실시했다. 한전의 경우 1989년 국민에게 주당 9100원에 주식을 팔았지만 현재 주가는 4만2000원에 불과하다. 지난 25년간의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국민주 취지에 부합하지 못했다는 평가다.

이런 상황에서 단순히 중간평가에서 기관장의 해임권고를 막기 위해 자사주를 매각하는 것은 국민주 상장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실제 자사주 매각 소식이 전해진 21일 한전과 가스공사 주가는 각각 4.42%, 1.06% 떨어졌다.

세종=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