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들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를 빌미로 예·적금 금리는 많이 내리면서 대출 금리는 ‘찔끔’ 내려 고객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특히 각종 우대금리나 고객 혜택마저 축소해 은행들의 잇속 챙기기가 지나치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지난 14일 기준금리를 연 2.50%에서 2.25%로 0.25% 포인트 인하한 후 이보다 더 크게 예·적금 금리를 인하하는 은행들이 잇따르고 있다.
농협은행은 큰만족실세예금 금리를 연 2.4%에서 2.05%로 0.35% 포인트나 내렸다. 주택청약예금과 주택청약부금도 각각 0.3% 포인트 인하했다. 우리은행은 개인고객용 수시입출금식 예금 13종과 기업고객 대상 예금 3종의 금리를 무더기로 인하해 다음 달부터 적용한다. 기업AMA통장의 경우 연 1.5∼2.2%에서 0.3%로 금리가 무려 1.2∼1.9% 포인트나 떨어진다. 우리잇(it)통장도 연 2.0%에서 0.3%로 1.7% 포인트 내리는 등 대부분 상품의 금리를 제로금리 수준으로 낮췄다.
한국씨티은행은 원더풀라이프 적금의 기본금리를 연 2.3%에서 1.9%로 0.4% 포인트 내렸다. 예금보다 금리 수준이 높은 적금의 기본금리가 연 1%대로 떨어진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반면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신한은행이 금리안전모기지론 금리를 기준금리 인하 폭과 같은 0.25% 포인트 인하했을 뿐이다. 나머지 은행들은 대부분 신규 주택담보대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코픽스 연동 대출의 금리를 고작 0.02∼0.09% 포인트 내리는 데 그쳤다.
김재중 기자
금리인하, 대출은 ‘찔끔’ 예금은 ‘왕창’… 속보이는 은행들
입력 2014-08-25 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