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모(55·회사원)씨는 평소 등이 뻐근하고 어깨죽지 근육도 자주 뭉쳤다. 특히 오후가 되면 통증이 심해져 머리를 들기가 힘들 정도로 불편했다. 늘 두통약을 가지고 다닐 만큼 머리도 무거웠다. 그러다 최근 오른쪽 어깨죽지부터 손까지 저리자 “혹시 중풍이 아닐까”라고 덜컥 겁이 나 필자의 병원을 찾아왔다.
검사를 해보니 김씨의 병은 경추(목뼈) 퇴행성디스크가 원인이었다.
인체는 40세가 넘으면 노화에 의한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런 변화는 목과 허리에도 온다. 목이나 허리 쪽 퇴행성 변화의 첫 번째는 디스크 내 수분 감소다. 특히 목 디스크 연골에 퇴행성 변화가 오면 목뼈가 미세하게 움직이면서 염증을 일으키게 되고, 그 결과 속칭 목 디스크(경추간판탈출증)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목 디스크의 증상은 목이 아프고 팔과 손끝이 동시에 저린 게 특징이다.
하지만 퇴행성 목 디스크는 신경을 직접 압박하지 않기 때문에 엉뚱한 병으로 오인하기도 쉽다.
X레이 촬영을 하면 일자 형태로 목뼈가 늘어선 경우가 많고 목뼈가 신경을 누르고 있지도 않아 정상같이 보인다. MRI 검사를 해도 신경 이상은 관찰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니 목과 어깨가 아파서 병원에 가도 별 이상이 없다거나 만성 경추염좌(목뼈 염증)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며 신경 쓰지 말라는 말만 듣기 십상이다.
소위 경추 퇴행성디스크는 대부분 수술이 필요한 질환이 아니다. 거의 다 간단한 치료로 뚜렷한 증상 개선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얘기다. 따라서 목이 아프다고 너무 불안에 떨거나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
초기라면 물리치료와 함께 근육이완제를 투여하는 정도로 쉽게 나을 수 있다. 한 달 이상 끌어 만성화됐을 때 역시 경추 신경성형술, 고주파 수핵성형술 등과 같은 비(非) 수술요법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경추 신경성형술은 직경 1㎜의 가는 관을 목뼈까지 진입시켜 신경 주위의 염증과 부종 조직을 깨끗하게 정리해주는 시술이다. 5∼10분이면 시술이 끝나고, 잠시 휴식을 취한 뒤 곧바로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어 간편하다.
고주파 수핵성형술(LDISQ)은 과거 레이저시술 보다 더 진화한 시술이다. 목 디스크의 경우 목뼈에서 삐져나온 디스크 조직만 선택적으로 고주파 열에너지로 태워 없애기 때문이다.
피부를 절개하지 않으므로 흉터와 감염의 걱정이 없고 허리 디스크의 치료에도 같은 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해 환자는 물론 척추외과 의사에게도 유용한 치료법이 고주파 수핵성형술이다.
신규철 제일정형외과 병원장
[헬스 파일] 목 디스크
입력 2014-08-25 0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