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세월호 특별법 재합의안에 대해 “여야가 합의한 것은 하늘이 무너져도 지켜야 한다”면서 새정치민주연합을 거듭 압박했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긴장감도 흘렀다. 새누리당이 22일부터 1박2일 일정으로 실시되는 의원 연찬회에 음주를 금지한 조치가 대표적이다. 음주 관련 추문이나 사고가 발생할 경우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깔려 있다.
새누리당은 새정치연합에 여야 원내대표 간 재합의안에 대한 압박과 호소를 병행했다. 침체된 경기 회복을 위해 산적한 민생경제 법안만이라도 우선 처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무성 대표는 21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특별검사 추천과 관련해 여당 몫 2명에 대한 (유가족과 야당의) 사전동의는 사실상 유가족과 야당에 우리 당의 추천권을 내준 것”이라며 “(새정치연합은) 이 합의안을 수용해 그 기막힌 사고에 대해 빨리 진상조사를 들어갈 수 있도록 간절한 마음으로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완구 원내대표는 “특별법 처리는 새정치연합의 결단과 자세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특별법에 대한 새누리당의 추가 양보나 재재협상은 없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 것이다. 이인제 최고위원은 “설령 합의에 불만이 있어 합의를 이끌어냈던 원내대표를 불신임하더라도 여야 간 합의한 것은 하늘이 무너져도 지켜야 한다”면서 “야당이 유가족의 동의를 얻지 못했다는 핑계를 대고 있지만 의회정치는 국민을 대표하는 것이지, 특정 단체를 대표하는 게 아니다”고 지적했다.
새정치연합이 “박근혜 대통령이 나서 막힌 정국을 풀어야 한다”고 주장한 데 대해선 강한 반박이 쏟아졌다.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세월호 특별법 제정은 청와대가 아니라 국회의 몫”이라며 “야당이 대통령까지 끌어들이는 것은 결코 책임 있는 모습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새누리당은 야당을 압박하면서도 내부 단속에 주력했다. 이 원내대표는 의원들에게 발송한 안내문에서 “이번 연찬회는 정국 상황 등을 고려해 주류 반입 및 음주를 일절 금지하기로 최고위원회에서 결정했다”면서 “당 혁신 방안과 민생경제 회복 등에 대한 토론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22∼23일 충남 천안의 우정공무원교육원에서 열리는 의원 연찬회의 음주 금지 방침을 분명히 한 것이다. 세월호 특별법 협상과 관련해 정치권에 대한 불만이 높은 상황에서 음주사고가 발생한다면 감당할 수 없는 위기상황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세월호 특별법 처리] 與 “합의는 하늘 무너져도 지켜야”
입력 2014-08-22 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