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K-부산 ‘남부권 신공항’ 갈등 재연 우려

입력 2014-08-21 03:05
남부권 신공항을 둘러싼 영남권 자치단체 간 갈등이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0일 남부권 신공항 범시도민추진위원회(대구·경북·울산·경남·호남)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22일 남부권 신공항 건설수요 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수요 조사에서는 남부권 신공항을 건설할 만한 수요가 충분하다는 결론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남부권 신공항 수요조사 연구 용역은 지난해 대구·경북·부산·울산·경남 등 5개 시·도와 국토부가 합의해 진행한 것으로 한국공항공사와 파리공항공사 등 국내외 항공관련 기관과 대학 연구소가 연구에 참여했다. 국토부는 지난 2월 중간보고에서 국내 공항을 통해 출입국한 내국인 중 영남 주민 비율이 최근 4년 만에 3%포인트 정도 늘었고, 국제공항을 이용한 영남 주민이 최근 4년 동안 189만명 증가했다고 밝힌바 있다.

남부권 신공항 건설이 필요하다는 수요조사 결과가 나오면 실제적으로 신공항 입지를 결정하게 될 입지타당성 조사를 하게 된다. 하지만 밀양 입지를 주도하고 있는 대구·경북과 가덕도를 주장하고 있는 부산 간 입장차가 여전해 우려를 낳고 있다.

정부는 영남권 5개 시·도의 입지타당성 조사 결과 수용 합의를 요구하고 있지만 대구·경북은 입지타당성 조사 항목으로 ‘1시간 이내 접근할 수 있는 곳’을, 부산은 ‘24시간 운영 가능한 곳’을 주장하고 있다. 또 대구는 5개 시·도 내 기존 공항을 모두 폐쇄해 남부권 신공항으로 수요를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부산은 김해공항을 그대로 두고 가덕도 부지에 활주로 1개를 건설하는 방안을 주장하고 있다. 이밖에도 정부가 신공항 사업 규모를 축소하려고 한다는 부정적 지역 여론도 입지타당성 조사의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강주열 남부권 신공항 범시도민추진위원장은 “정부가 지방에 입지타당성 조사 결과 수용을 요구하는 것은 대통령 공약 사업인 신공항 사업의 책임을 영남에 미루는 것”이라며 “신공항 사업은 영남권 시·도의 합의가 아니라 정부가 중심을 잡고 주도해야 하는 사업”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