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의 세월호 특별법 협의는 롤러코스터 타듯 극적으로 진행됐다. 전격 합의에서 번복, 재협상 그리고 19일 재합의로 이어지는 과정은 특히 야당에 적잖은 상처를 남겼다. 재합의마저 유가족이 거부하면서 또다시 혼돈 속으로 빠져드는 모습이다.
지난 7일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는 예상과는 달리 전격적으로 세월호 특별법 처리에 합의했다. 특검 추천권에서 새누리당이 기존 주장을 관철시켜 판정승을 거뒀다는 평가가 우세했다.
새정치연합 내에서 즉각 반발이 일어났다. 당의 의견 수렴을 거치지 않고 박 원내대표가 독단적으로 결정을 내렸다는 것이다. 의원총회에서는 박 원내대표의 합의안이 거부됐다. 특별법 당사자인 세월호 참사 유가족과 정의당 등도 박 원내대표의 합의에 대해 ‘야합’이라고 거세게 비난했다.
결국 박 원내대표는 지난 11일 새누리당에 ‘재협상’을 요구했다. 국회 세월호 국정조사 특위 증인 선정이 결렬됐기 때문에 특별법까지 패키지로 재협상 가능하다는 논리였다. 같은 날 새정치연합 의원총회에서도 재협상을 결의했다.
하지만 새누리당은 재협상에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여야 합의를 야당이 일방적으로 파기할 수 없다는 주장이었다. 한동안 여야 간의 냉랭한 분위기가 이어졌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은 세월호 특별법 재협상 여론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교황이 연일 세월호 참사 유가족을 만나 위로하자 정치권이 빨리 세월호 특별법 처리에 합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결국 여야는 다시 협상 테이블에 나왔다. 협상은 극비리에 진행됐다. 특검 추천권 문제로 마지막까지 밀고 당기기가 계속됐다. 임시국회 마지막 날인 19일 오전까지도 합의가 불발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그러나 결국 여야 원내대표는 특검 추천권에 야당 의사가 반영되도록 한 재협상안을 마련했다. 새누리당은 별다른 이의가 없었지만, 세월호 유가족이 반대 입장을 밝히면서 새정치연합은 다시 내부 논란이 벌어졌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세월호 특별법 극적 타결] 임시국회 마감 6시간 남기고 전격 합의
입력 2014-08-20 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