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지정 문화재 보존·관리상태 엉망

입력 2014-08-20 03:31
제주도가 국가·도 지정 문화재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제주도는 국가 및 도 지정 문화재가 373곳에 이르고 있지만 인력·예산 부족 등으로 보존관리를 제대로 못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국가지정문화재는 보존·관리 예산으로 전액 국비가 지원되지만 도 지정 문화재와 비지정 문화재는 예산지원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도 지정 문화재는 최근 2년간 50여곳이나 증가했음에도 예산투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문화재청이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5월까지 야외에 노출된 보물·사적 등 제주지역 국가지정문화재 69곳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 보존처리가 필요한 ‘C등급’은 16곳으로 나타났다. 또 위험요소에 따른 정밀조사가 필요한 ‘D등급’은 9곳, 구조적 결함으로 보존관리 수립이 필요한 ‘E등급’은 7곳 등 조사대상의 절반에 가까운 32곳(46.4%)이 관리가 소홀한 것으로 지적됐다.

지난해 말 기준 도내 문화재 지정 현황은 국가지정 103곳, 도 지정 270곳 등이다. 하지만 도 지정 문화재 보존관리 예산은 매년 25억원(국비 50%·지방비 50%) 안팎에 불과하고 인력도 행정시별로 4∼5명에 그치는 등 예산·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 고인돌 등 일부 비지정문화재인 경우는 거의 방치되는 실정이다. 도 관계자는 “도지정 문화재 등에 대한 보존관리 예산을 대폭 증액해야 하나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