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0월 치러질 예정인 전북대 차기 총장선거를 앞두고 간선제를 추진 중인 본부 측과 직선제를 고집하는 교수회와의 반목이 더 심해지고 있다. 전북대 차기 총장선거가 자칫 ‘한 지붕 두 선거’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8일 전북대에 따르면 본부 측은 총장 선거를 오는 10월 간선제로 치르기로 하고 다음 달 4일 안으로 총장임용후보자선정관리위원회를 구성할 예정이다.
본부 측은 그동안 신중한 행보를 유지했지만 원만한 선거 일정을 위해서는 “이젠 시간이 없다”며 단호한 입장이다. 전북대 관계자는 “명분 없이 교육부와 갈등을 빚으면 국가 지원사업 예산 등에 불이익을 받을 게 분명하다. 교수회가 학교를 위해 직선제 강행 입장을 재고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본부는 지난 3월 총장임용후보자선정에 관한 규정과 시행규칙 제정을 마무리했다. 시행 규칙에는 ‘총장임용후보자추천위는 학내 구성원 36명과 외부인사 12명 등 48명으로 구성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학내 구성원은 교수 31명, 직원 4명, 학생 1명으로 구성하고 교수위원은 단과대별 인원비율에 따라 무작위 추첨하기로 했다. 외부인사는 교수와 직원에 의한 무작위 추첨을 할 계획이다.
하지만 교수회는 “독자적으로 직선제 총장을 선출하겠다”며 수순 밟기에 돌입했다.
교수회는 “9월 25일 직선제 총장 선거를 실시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최근 평의회를 통해 제17대 총장후보자 선정규정과 시행규칙을 제정 공포했다. 교수회는 다음 달 2일 선거 공고를 낸 뒤 11∼12일 후보등록, 3일 뒤 기호추첨과 토론회 일정을 확정키로 했다.
교수회는 “대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수 총의이고, 지난해 12월 83.8 3%의 교수가 총장 직선제에 찬성한 만큼 직선제를 강행하겠다”면서 “총장 후보자를 선출할 수 있는 권한은 교수회에만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차기 총장 선거 출마 예정자는 10여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몇 명이나 직선제 선거에 참여할지는 미지수다. 하지만 본부 측과 교수회의 입장 차이가 워낙 커 한 지붕에서 두 개의 선거가 치러지는 혼란이 일어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전북대 총장선거 ‘간선제 VS 직선제’ 충돌
입력 2014-08-19 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