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광복절 경축사] ‘아베 전향적 조치 취하라’ 강한 메시지

입력 2014-08-16 02:19
박근혜 대통령은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한·일 관계를 개선해야 할 필요성을 비교적 강한 어조로 표명했다. 아울러 일본과 중국을 비롯한 동북아 국가들 간의 긴밀한 다자 협력체제가 구축돼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우선 내년이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임을 언급하면서 미래 지향적인 새로운 우호 협력의 50년을 내다보자고 말했다. 특히 50주년을 양국 국민들이 축하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은 양국이 오래전부터 문화적·정서적 교류의 전통을 이어온 점까지 거론하며 앞으로 교류를 더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박 대통령은 하지만 양국 국민들은 잘 지내려고 하는데 일부 정치 지도자들이 서로를 갈라놓고 상처를 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비롯해 역사인식이 잘못됐음을 비판하면서 일본 정치 지도자들의 변화를 촉구했다.

박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과거사 사과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 등을 촉구해온 기존 입장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양국이 잘 지내야 하고 또 내년을 미래를 위한 새 출발의 원년으로 삼자고 여러 차례 밝힌 점은 어느 때보다 관계 개선 의지가 강함을 시사한다.

일본이 역사인식 문제에서 전향적 자세만 보여준다면 우리는 언제든 좋은 이웃으로서 잘 지내겠다는 것이다.

이런 주문은 결국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를 향한 것이다. 아베 총리가 식민지배에 대해 사과하고 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전향적 조치를 제시해야 한다는 요구다. 달리 말하면 그렇지 않고서는 관계 개선을 할 수 없다는 일종의 전제조건을 내건 것이기도 하다.

박 대통령이 동북아 국가들이 주요 현안에 공동 대처하자는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을 재차 언급한 것도 결국은 가장 가까운 일본, 중국과 잘 지내야 한다는 의미다.

경축사에서 제안한 원자력안전협의체 신설도 결국은 한·중·일이 중심이 된 협력체제를 발족하자는 얘기다.

이 협력체제를 원자력뿐만 아니라 향후 재난 구조나 기후변화 대응, 마약 문제 등으로도 확대해 장기적으로는 유럽연합(EU)과 같은 공고한 협력체제를 구축하자는 제안이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