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광복절 경축사] “南北 함께 하천 산림 관리·유적 발굴 하자”

입력 2014-08-16 03:01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제69주년 광복절 경축사를 발표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남북 하천·산림 공동 관리사업 등 대북 제의와 함께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지도자들의 결단을 촉구했다. 이동희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제69주년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우선적으로 한반도 생태계를 연결하고 복원하기 위한 환경협력 통로를 만들어야 한다"며 남북 하천·산림 공동관리사업을 북측에 제안했다. 또 문화재·역사유적 등 문화유산에 대한 남북 공동 발굴 및 보존사업도 제의했다.

박 대통령은 15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광복절 기념식에 참석, 오는 10월 평창에서 열리는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에 북한이 참여해줄 것을 제안했다. 남북 간 신뢰 구축을 위해 주민 간 동질성 회복과 민생 인프라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는 자신의 '드레스덴 구상'을 구체화한 것으로 해석된다.

박 대통령은 남북 협력사업과 관련해 "남북을 가로지르는 하천, 산림을 공동으로 관리하는 일부터 시작해 서로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협력사업을 확대해 가야 한다"고 말했다. 문화유산 남북 공동 발굴·보존 사업에 대해선 "남북 주민들의 삶이 진정으로 융합되기 위해서는 문화 통로를 통해 서로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또 "이산가족들이 서로 만나고 인도적 지원을 더욱 활발하게 펼쳐야 한다"며 북측이 이산가족 상봉 문제 등을 논의할 남북 고위급 접촉에 응할 것을 거듭 촉구했다.

박 대통령은 경색국면이 지속되는 한·일 관계와 관련,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치 지도자들의 결단을 요구했다. 박 대통령은 "역사의 진실은 마음대로 가릴 수 없고, 부정할 수도 없는 것"이라고 단언했다. 이어 "저는 (광복 70주년이자 한·일 수교 50주년인) 내년이 양국이 새로운 미래를 향해 함께 출발하는 원년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이를 위한 일본 정치 지도자들의 지혜와 결단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아울러 동북아 역내 갈등 해소 및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 차원에서 한국 중국 일본이 중심이 된 '원자력 안전협의체' 구성도 제안했다.

국내 문제에 대해서는 "무엇보다 경제 활성화에 국정 역량을 집중해 그간 지속돼온 침체와 저성장의 고리를 끊어낼 것"이라고 다짐했다.

박 대통령은 "기업 활동 성과가 가계소득을 높이고 투자로 이어지도록 정부는 재정·세제·금융 등 정책수단을 총동원해 내수경기를 살려낼 것"이라며 "이미 발표한 41조원 규모의 경제 활성화 패키지에 더해 내년 예산도 최대한 확대 기조로 편성해 경기회복 불씨를 되살리겠다"고 덧붙였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