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제69주년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우선적으로 한반도 생태계를 연결하고 복원하기 위한 환경협력 통로를 만들어야 한다"며 남북 하천·산림 공동관리사업을 북측에 제안했다. 또 문화재·역사유적 등 문화유산에 대한 남북 공동 발굴 및 보존사업도 제의했다.
박 대통령은 15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광복절 기념식에 참석, 오는 10월 평창에서 열리는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에 북한이 참여해줄 것을 제안했다. 남북 간 신뢰 구축을 위해 주민 간 동질성 회복과 민생 인프라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는 자신의 '드레스덴 구상'을 구체화한 것으로 해석된다.
박 대통령은 남북 협력사업과 관련해 "남북을 가로지르는 하천, 산림을 공동으로 관리하는 일부터 시작해 서로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협력사업을 확대해 가야 한다"고 말했다. 문화유산 남북 공동 발굴·보존 사업에 대해선 "남북 주민들의 삶이 진정으로 융합되기 위해서는 문화 통로를 통해 서로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또 "이산가족들이 서로 만나고 인도적 지원을 더욱 활발하게 펼쳐야 한다"며 북측이 이산가족 상봉 문제 등을 논의할 남북 고위급 접촉에 응할 것을 거듭 촉구했다.
박 대통령은 경색국면이 지속되는 한·일 관계와 관련,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치 지도자들의 결단을 요구했다. 박 대통령은 "역사의 진실은 마음대로 가릴 수 없고, 부정할 수도 없는 것"이라고 단언했다. 이어 "저는 (광복 70주년이자 한·일 수교 50주년인) 내년이 양국이 새로운 미래를 향해 함께 출발하는 원년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이를 위한 일본 정치 지도자들의 지혜와 결단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아울러 동북아 역내 갈등 해소 및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 차원에서 한국 중국 일본이 중심이 된 '원자력 안전협의체' 구성도 제안했다.
국내 문제에 대해서는 "무엇보다 경제 활성화에 국정 역량을 집중해 그간 지속돼온 침체와 저성장의 고리를 끊어낼 것"이라고 다짐했다.
박 대통령은 "기업 활동 성과가 가계소득을 높이고 투자로 이어지도록 정부는 재정·세제·금융 등 정책수단을 총동원해 내수경기를 살려낼 것"이라며 "이미 발표한 41조원 규모의 경제 활성화 패키지에 더해 내년 예산도 최대한 확대 기조로 편성해 경기회복 불씨를 되살리겠다"고 덧붙였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朴대통령 광복절 경축사] “南北 함께 하천 산림 관리·유적 발굴 하자”
입력 2014-08-16 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