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대비 위해 서울·평양 교류 필요… 대북정책 정파적 입장서 바뀌어 아쉽다”

입력 2014-08-15 03:19
박원순 서울시장(왼쪽)이 13일(현지시간) 클라우스 보베라이트 베를린시장과 ‘문화·관광 촉진에 관한 협의서’를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박원순 서울시장이 독일 베를린 방문 중 통일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수도인 평양과의 교류가 필요하다는 뜻을 밝혔다.

박 시장은 13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장벽기념관에서 발터 몸퍼 전 베를린시장과의 통일좌담회에서 “과거 김대중정부 시절 햇볕정책으로 시작된 화해와 교류정책이 상당한 열매를 맺기도 했지만 이후 긴장상태로 복원됐다”고 지적했다.

박 시장은 특히 ‘한국을 대표하는 서울과 북한의 대표도시 평양 간 교류 가능성이 있느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서울과 평양에서 경평전을 매년 열자, 서울시향 협연을 하자고 제안은 하지만 중앙정부 간 냉전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면서 “수도 간 교류는 사실상 쉽지가 않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이어 “김대중정부에서 계획된 것들이 노무현정부에서 상당한 진전이 있었는데 이명박, 박근혜정부에서도 지속적으로 발전돼 왔다면 서울시장인 제가 지금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를 만날 수 있었을 것”이라며 “독일은 동방정책 이후 교류가 있어 통일을 이뤘는데, 대북정책이 정파적 입장에서 바뀌어 굉장히 안타깝다”고 설명했다.

한편 박 시장은 좌담회에 앞서 클라우스 보베라이트 베를린시장과 ‘문화·관광 촉진에 관한 협의서’를 체결했다. 이에 따라 양 도시는 공동 관광홍보 마케팅, 관광상품 개발, 국제회의 및 전시회 개최, 패션·영화 등 문화산업 분야 교류 등을 활발히 펼치기로 했다. 또 전기차 산업이 발달한 베를린과 환경 관련 협력 등도 함께 추진키로 했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