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순위가 17년 전보다 4단계나 하락하며 ‘잃어버린 17년’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재계에 따르면 한국의 GDP 순위는 외환위기 직전인 1997년 11위였다가, 2008년 15위로 밀려나더니 6년 연속 15위에 머물러 있다. 한국 경제가 브릭스(BRICS) 등 국가와의 경쟁에서 오랫동안 뒤처진 뒤 이를 만회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 관계자는 “그동안 글로벌 경제 위기에서 빨리 벗어나고 펀더멘털이 튼튼한 것으로 위안을 삼았으나 우리 경제의 규모가 15위까지 밀린 사실을 애써 외면해 왔다”며 “경제성장률과 경제규모를 놓고 벌이는 국가 간 경쟁에서 뒤지고 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동안 삼성전자와 현대차가 경제성장을 견인하며 두 기업에 대한 한국경제 의존도가 심화되는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악화된 2분기 기업실적을 보면 이런 ‘경제 착시현상’마저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
미국 경제전문지 포천이 선정한 글로벌 500대 기업의 수에서도 한국은 17년째 제자리걸음이다. 이 기간 동안 중국 기업은 5개에서 95개로 90개 늘어났고, 인도 기업과 러시아 기업은 각각 1개에서 8개로 늘어났다. 하지만 국내 기업은 13개에서 17개로 4개 증가하는 데 그쳤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한국경제 ‘잃어버린 17년’ 현실화
입력 2014-08-15 0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