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새누리당 호남 지원, 인사·예산으로 보여라

입력 2014-08-15 02:10
새누리당이 14일 전남 광양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갖고 호남에 대한 지원을 약속한 것은 정치적으로 각별한 의미가 있다. 7·30재보선 때 순천·곡성 유권자들이 이정현 최고위원을 당선시켜준 데 대한 답례 성격이지만 지도부의 발언은 주목할 만하다. 김무성 대표는 “그동안 호남인들에게 섭섭하고 소홀하게 대하는 것처럼 느끼게 했음을 솔직히 인정하고 (앞으로) 온몸을 다 바쳐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 대표의 발언은 보수정당의 호남 차별과 호남의 저항 투표가 악순환을 거듭하면서 심화된 지역갈등의 고리를 끊겠다는 의지 표현으로 읽힌다. 중요한 것은 실천이다. 그동안 정치인들은 큰 선거 때마다 균형예산과 탕평인사를 통해 국민통합을 이루겠다고 다짐했으나 대부분 지켜지지 않았다. 박근혜 대통령도 마찬가지다.

김 대표가 이 최고위원의 선거공약이었던 ‘예산폭탄’이 불발탄이 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한 것은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호남을 특별히 배려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오는 25일 전남도청에서 예산 당정회의를 개최키로 한 것은 그 약속이 실행 단계에 접어들었음을 말해준다. 일선 시·군에선 국책사업 예산 못지않게 안전행정부가 배당하는 지자체 교부금을 중시한다. 교부금은 통상적으로 여당 의원 지역구에 집중적으로 할당된다. 새누리당이 안행부에 얼마만큼 영향력을 행사할 것인지는 두고 볼 일이다.

지역 편중 인사도 지역갈등의 주범이다. 박 대통령은 국민 대통합 인사를 공약했으나 정반대로 가고 있다. 입법, 사법, 행정부 수장이 모두 영남 출신인 데다 4대 사정기관장도 영남 일색이다. 거기다 고위직 인사를 총괄하는 대통령 비서실장까지 영남 출신이니 공직사회와 공기업의 영남 편중은 더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행정부 인사는 대통령 고유 권한이란 측면이 있기 때문에 당의 요구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 대표의 호남 끌어안기가 진정성을 가지려면 대통령에게 쓴소리를 해서라도 영남 편중 인사를 고쳐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