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에서 상무급 임원으로 승진하는 나이는 평균 51세로 나타났다.
CEO스코어는 49개 기업집단 중 상장사를 보유한 44개 그룹 234개사 임원 7679명을 조사한 결과 평균 나이가 52.5세라고 13일 밝혔다. 직위별 평균 나이는 상무(이사)가 51.3세, 전무 54.6세, 부사장 55.7세, 사장 58세, 부회장 61.8세, 회장 65세다. 상무로 임원을 시작해 사장에 오르기까지 7년 정도 걸리는 셈이다.
대주주 일가인 임원 137명의 평균 나이는 55세였다. 이들은 첫 임원(상무)에 40.2세로 올랐고, 2년 만인 42.2세에 전무가 됐다. 사장까지는 다시 7.6년이 더 걸렸지만, 50세가 되기 전에 CEO 자리에 올랐다. 대주주 일가가 아닌 임원의 평균 나이는 52.4세로 오히려 젊었다. 대주주 일가와 달리 상무(51.3세) 전무(54.7세) 부사장(56.1세) 사장(58.6세) 등 직위별로 약 3년 간격의 단계별 승진 모습을 보였다.
44개 그룹 중 임원 평균 나이가 가장 많은 곳은 56.3세의 현대산업개발, 가장 젊은 곳은 47세의 미래에셋그룹이었다. 임원 평균 나이가 적은 곳은 아모레퍼시픽(48.6세) CJ(49.7세) 이랜드(50.1세) 등 패션 및 유통 부문이 많았다. 10대 그룹에서는 롯데(51.3세) 한화·삼성(51.4세) LG(51.6세) 순으로 임원들이 젊었다. 최연소 임원은 31세의 대한항공 조현민 전무였고, 최고령 임원은 롯데그룹 신격호(92) 총괄회장이었다. 여성임원 131명의 평균 연령은 48.3세로 남성임원의 평균 나이 52.6세보다 약 네 살 적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대기업 ‘별’ 다는 나이 51세, 대주주 일가는 40세에 임원
입력 2014-08-14 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