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이라크에 군사고문단 130명을 추가로 파견한 데 이어 영국과 호주 등도 무기 지원과 전투부대 파병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라크 군사개입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집권 후반기 외교정책과 배치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척 헤이글 국방장관은 12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주 캠프 펜들턴에 있는 해병부대 연설에서 "우리는 8년간의 이라크 전쟁시기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며 "군사고문단 130명이 추가로 이라크 북부 아르빌에 도착했다"고 말했다.
이번에 파견된 군사고문단은 해병대와 특수전 요원으로 구성됐으며 북부 신자르 지역에 고립된 야지디족의 탈출로 확보와 인도주의 지원 임무를 수행한다. 앞서 미국은 250명의 군사고문단을 파견해 이라크 정부군의 군사작전 지원과 급진 수니파 반군 '이슬람국가(IS)'의 전력평가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미국의 군사고문단 추가 파견에 호응한 영국은 헬기와 전투기 등을 지원키로 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토네이도 전투기 8대와 치누크 헬기를 동원해 야지디족을 도울 것"이라고 보도했다.
독일은 장갑차와 야간투시장비 등을 제공키로 했으며 프랑스는 20t의 구호물품을 지원하기로 했다. 토니 애벗 호주 총리는 "호주 전투부대가 이라크에 돌아갈 수도 있다"고 말해 전투부대 파병 가능성을 시사했다.
제한적 공습에 이어 군사고문단을 추가 파견하면서 지난 5월 오바마 대통령이 웨스트포인트에서 밝힌 외교정책 노선을 둘러싼 논란이 일고 있다. 당시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인이나 미국의 안보이익이 직접 위협받는 경우와 대규모 인도주의적 위기 상황에 한해 군사력을 동원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이 이라크 문제에 재개입한 것도 IS가 미국인과 미군시설을 위협하고 야지디족을 탄압해 인도주의적 위기 상황에 처했다는 게 이유였다.
하지만 인도주의적 위기 상황이 더 심각한 시리아나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문제에 대해 미국이 외면하면서 군사개입이 선별적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프레데릭 호프 중동문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시리아 난민문제에는 개입을 외면한 상황에서 현재 미국 태도는 이해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
美 군사고문단 130명 추가 파견
입력 2014-08-14 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