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안팎의 강경그룹이 중요 사안 의사결정 좌우… 흔들리는 새정치연합

입력 2014-08-13 00:45
새정치민주연합이 여야 간 세월호 특별법 합의를 사실상 파기하고 재협상을 결정한 배경에는 당내 강경파와 외부 진보그룹의 압박이 크게 작용했다. 당내에서는 재야 원로 및 진보지식인 그룹이 중요 정치사안마다 당의 의사결정을 사실상 좌우했다는 말이 나온다.

박영선 원내대표 겸 국민공감혁신위원장이 여야 합의안 추인을 시도했던 11일 이들 강경파와 재야 인사들은 한꺼번에 같은 목소리를 냈다. 강경파 초재선 의원 모임인 ‘더좋은미래’가 깃발을 들었고 정청래 의원 등을 필두로 한 ‘486(40대·80년대 학번·60년대생)’들이 뒤를 받쳤다. 경기 안산을 지역구로 둔 4선의 김영환 의원을 비롯해 정동영 문재인 상임고문 등도 가세했다.

당 외부에선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와 함세웅 신부, 김상근 목사 등 ‘사회원로 5인’이 박 위원장에게 공개편지를 보냈다. 2012년 총·대선 때 ‘희망 2013 승리 2012 원탁회의’란 회의체를 만들어 야권 연대와 후보 단일화를 추진했던 바로 그 사람들이었다. 조국 서울대 교수와 작가 공지영씨, 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 등 진보 지식인 20여명도 가세해 세월호 특별법에 수사권과 기소권을 포함시켜야 한다는 성명을 냈다. 이들 모두는 지난해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 사건이 불거졌을 당시 야당의 장외 강경 투쟁을 지지했던 인사들이다. 당 내외에서 전방위 압박을 받자 박 위원장을 비롯한 당내 온건파는 밀릴 수밖에 없었다.

7·30재보선 패배 이후 당이 변화와 혁신의 몸부림을 치고 있지만 이들의 강경 노선이 ‘되돌이표’를 만들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