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마라스와미 前 유엔 여성폭력문제 특별보고관 “日은 퇴보… 위안부 문제 외면 이해 안 돼”

입력 2014-08-13 00:05
공동취재단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우익의 왜곡 시도가 심화되는 가운데 1996년 위안부 문제를 다룬 유엔 보고서를 발표한 라디카 쿠마라스와미(61·사진) 전 유엔 경제사회위원회 인권위원회 특별보고관이 “요즘 일본이 1995년 이전의 강경한 자세로 퇴보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쿠마라스와미 전 보고관은 지난 9일(현지시간) 스리랑카 수도 콜롬보 자택에서 가진 외교부 공동취재단과의 인터뷰에서 “1996년 이후 조금씩 진전돼 온 위안부 문제 해결이 일본 국내 정치 때문에 오히려 교착상태에 빠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은 더 이상 시간을 늦추지 말고 단독으로 사과·보상하거나 위안부 대표들과 만나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쿠마라스와미 전 보고관은 아시아에서 군 위안부 실태를 조사한 뒤 1996년 ‘전쟁 중 군대 성노예제 문제에 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한국 및 일본 조사 보고’라는 보고서를 작성해 유엔에 제출했다. 이 보고서는 군 위안부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룬 사실상 첫 유엔보고서로 이 문제에 관한 한 가장 권위 있는 국제사회의 판단 기준이 됐다. 특히 일본군 위안부 제도를 ‘성노예제’로 규정하고 일본에 법적 책임 인정과 배상을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그는 최근 나비 필레이 유엔 인권최고대표가 일본 정부에 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한 것에 대해 “왜 이렇게 중요한 인권 이슈를 계속 내버려 두는지에 대한 당혹감을 표현한 듯하다”고 설명했다. 또 “인권 문제에 협조적이었던 일본이 왜 위안부 이슈만큼은 해결을 안 하는지 이해가 안 된다”고 토로했다.

쿠마라스와미 전 보고관은 보고서에서 군 위안부를 전시 성노예로 명명한 이유와 관련해 “피해자들에게 전해들은 상황이 명백히 노예의 상황이었기 때문”이라며 “이 여성들은 자신의 의지에 반해 누군가에 의해 통제 당했다”고 힘주어 말했다. 일본 정부가 최근 고노(河野) 담화 검증 보고서를 통해 ‘강제연행은 확인할 수 없다’고 주장한 데 대해서는 “명백히 대부분 강제성이 있었다”고 반박했다.

외교부공동취재단,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