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양보는 없다” 野 “성의 보여라” 세월호 특별법 ‘답’이 안보인다

입력 2014-08-13 00:44
세월호 특별법 협상이 원점으로 돌아가면서 정치권의 지루한 ‘밀당(밀고 당기기)’이 다시 시작됐다. 여당은 일단 “재협상은 없다”며 강경하게 선을 긋고, 야당은 별다른 협상 대안이 없어 돌파구를 찾기가 난망한 상태다.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는 12일 새정치민주연합이 전날 세월호 특별법 재협상을 결의한 것에 대해 “대단히 당혹스럽다”고 강하게 불만을 토로했다. 이 원내대표는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에 나와 “(여야 간 협상은) 신의성실 원칙에 따라야 하는 것인데 의총에서 뒤집어 버리면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고 했다.

새누리당은 오전 11시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대응책을 논의했다. 최고위원들은 “세월호 특별법 재협상은 현재 양보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참석자는 “(야당에) 강경하게 대응하자는 이야기가 많이 나왔다”며 “(여당이) 물러날 수 있는 데까지 물러났고 더 이상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잘라 말했다. 새누리당은 13일 오전 의원총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한 뒤 구체적인 대응책을 정할 방침이다.

새정치연합은 진상조사위에 수사권을 부여하거나 특검 추천위원회의 야당 몫 확대 방안을 사실상의 협상 마지노선으로 정했다. 조정식 사무총장은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 나와 “세월호 사고에서 정부·여당이 일말의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면 유가족과 국민의 요구를 겸손하게 돌아보며 최선의 안을 도출할 수 있도록 같이 성의를 보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내 일부 강경파는 국정감사 보이콧 등 정기국회 일정이나 경제 활성화 법안 처리 문제를 연계 처리하자는 목소리까지 내고 있다. 일단 당초 13일로 예정된 세월호 특별법 본회의 처리는 물 건너갔고, 세월호 청문회 증인 문제 협상도 제자리걸음이어서 18일부터 예정된 청문회도 무산될 위기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재협상을 의결한 만큼 새누리당에서 특별한 변화가 없는 한 박영선 원내대표로서도 계속 강공으로 가지 않을 수 없다”면서 “야당은 이제 출구가 없다”고 털어놨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