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쿡기자] 요즘 학생들 참 안타깝습니다. 학교에서 돌아와도 또 공부. 학원에 과외에 정신없습니다. 책가방 던져놓고 놀러가는 건 상상조차 못하지요. 그날그날 과제를 제때 하는 것만도 용합니다.
그런 학생들에게 특별한 방학숙제를 내준 학교가 있더군요. ‘어느 중학교 방학숙제’라는 단순한 제목이 붙어 인터넷에 올랐습니다. 한 장의 사진인데 순식간에 화제가 됐습니다. 11일 인터넷판으로 전해드렸는데 반응이 뜨겁더군요. 그래서 지면으로 다시 전합니다.
여름방학 과제가 설명된 안내문으로 보이는데요. 어느 학교인지, 몇 학년 학생에게 주어진 것인지 등에 대한 정보는 전혀 없습니다. ‘도전. 여름방학 보내기’라는 코너로 탐구활동 주제 20개가 제시됐을 뿐입니다. 20개 중 2개 이상을 택해 소감문을 쓰면 된답니다.
주제가 재미있습니다. ‘어떤 문제집을 몇 장 이상 풀어라’라는 머리 아픈 과제가 아닙니다. 어린 시절 나도 한번쯤 해봤으면, 혹은 내 아이에게 시켜보면 어떨까 싶은 것들입니다.
1번부터 예사롭지 않습니다. 맨땅의 흙을 맨발로 밟아보랍니다. ‘해지는 것을 물끄러미 바라보기’ ‘들꽃과 같은 키로 엎드려 이야기하기’ ‘소나기를 그대로 맞고 다른 사물들 관찰하기’ 같은 항목이 있습니다. 자연을 온몸으로 느껴보라는 겁니다.
‘하루 종일 아무 것도 안하기’ ‘버스 타고 아무데나 종점까지 갔다가 되돌아오기’도 보입니다. 휴식시간에도 TV, 인터넷, 스마트폰에 파묻혀 지내는 아이들. 혼자만의 시간을 갖고 사색에 잠겨보라는 의미겠지요.
‘혼자 밥하고 반찬 챙겨 가족들 챙기기’ ‘부모님의 직장(일터) 견학하기’ 등 가족과의 교류를 강조한 항목도 있습니다. ‘하루 동안 장애친구(시각장애, 다리불편, 한쪽 팔 등) 되어보기’라는 항목도 눈길을 끕니다. 타인을 이해하고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힘이 길러지겠네요.
네티즌들은 “9번이 함정”이라며 장난스런 댓글을 남겼습니다. 9번 과제는 ‘장래희망을 랩으로 표현하고 노래로 녹음하기’입니다. 쉽지 않아 보이는데요. 그래도 음악을 좋아하는 학생은 선택하겠지요?
네티즌들은 “맞다. 애들은 이렇게 자라야 한다” “참 좋은 방학숙제다”라고 공감합니다. “주책 맞게 눈물이 난다” “괜히 뭉클하다”는 글도 여럿 보입니다. 어느새 “1등 해서 좋은 대학 가야한다”는 강박에 빠져 중요한 무언가를 잊고 사는 스스로에 대한 자책 아닐까요.
지난 2월 한 교육업체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중학생 1862명 중 62%(1154명)가 새 학기 스트레스에 시달린답니다. 역시 공부가 가장 큰 고민이었죠. 더위와 공부에 지친 학생들이 ‘예쁜 방학숙제’를 하며 잠시라도 쉬어가기를 바랍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
[친절한 쿡기자] 맨발로 흙 밟아보기·석양 바라보기 괜히 뭉클… ‘참 예쁜 방학숙제’ 화제
입력 2014-08-13 0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