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0재보선 참패 이후 당 공동대표 교체 사태까지 맞았던 새정치민주연합이 또다시 극심한 혼란에 빠졌다. 세월호 특별법 재협상을 요구하는 당내 강경파 주장에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은 취임 후 첫 여야 합의를 접게 되면서 결국 지도력에 큰 타격을 입었다. 당 안팎에서 ‘대책 없는 강경파’에 대한 불만과 이들의 지도부 흔들기에 대한 우려도 잇따른다. 원내 제1야당이 갈피를 잡지 못하는 형국이다.
◇강경 목소리에 굴복한 지도부=비공개로 진행된 의원총회에서는 시작부터 합의안 파기와 재협상을 요구하는 ‘반대파’의 의견이 강하게 개진됐다. 의총에 참석한 복수의 의원들은 “지도부가 (특검 추천권 확보 관련) 추가협상을 제안했지만 의원 대다수는 재협상 의견을 강력 피력했다”고 전했다. 특히 강경파 초·재선모임인 ‘더좋은미래’ 소속 의원들이 지도부에 “유가족이 수용할 수 있도록 특검 추천권을 확보하라”고 강하게 주문했다. 이 모임 소속인 진성준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재협상이나 추가협상 같은 단어가 중요한 게 아니다. 실질적으로 추천권을 확보할 수 있게 협상해야 한다”고 했다.
안산을 지역구로 둔 4선 김영환 의원과 정동영 상임고문 등 중진들의 재협상 압박도 거셌다. 정 고문은 S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잘못한 걸 그냥 밀어붙이는 박근혜 대통령 스타일을 닮지 말라”고까지 말했다. 세월호 유가족 60여명은 국회 본관 앞에서 의총에 들어가는 의원들을 향해 박수를 치고 큰절을 하며 특검 추천권 확보를 위한 재협상을 호소했다.
◇재협상 아닌 ‘다시 협상’=새정치연합은 의총 직후 공식 브리핑에서 ‘다시 협상’이라는 표현을 썼다. 재협상이라고 하면 지난 7일 여야 합의를 백지화한다는 의미를 담게 돼 부담스러웠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박범계 원내대변인은 브리핑 후 기자들과 만나 “의원들 중에는 합의사항이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는 이가 있고, 재협상해야 한다는 이도 있어 양쪽 입장을 고려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기존 합의가 무효가 아니라는 사실은 분명히 했다.
◇‘지도부 흔들기’ 본격화되나=의총에서는 박 위원장에 대한 불만이 적잖게 나왔다. 한 초선의원은 “박 위원장이 나름 고민이 많았겠지만 실수한 것 같다는 사람도 있었고, 세월호 인식이 (당 의원들과) 다른 것 아니냐는 말도 나왔다”고 했다. 다른 의원은 “박 위원장이 협상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한 의원도 있었다”고 전했다. 박 위원장에게 추인권이 있느냐는 주장도 있었다고 한다. 박 위원장의 리더십이 다시 시험대에 오르게 되면서 이번 협상 결과에 따라 본격적인 지도부 흔들기가 시작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하지만 지도부 흔들기에 대한 우려의 시각도 크다. 새누리당이 ‘재협상 불가’를 선언한 마당에 재협상만 요구하면 세월호 매듭을 풀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실제로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과 국정감사, 추석연휴가 이어지는데 또 실기(失期)할 경우 ‘민생은 뒷전이고, 떼만 쓴다’는 인식이 확산될 수 있다.
특히 여야 최고지도부가 합의한 내용을 당내 강경파가 손바닥 뒤집듯 파기해 버렸다는 비난여론도 부담스럽다. 이로 인한 국회공전의 책임이 자칫 야당으로 쏠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수도권의 한 다선의원은 “재보선 이후 야당에 더 이상 남은 동력도 없지 않으냐”며 “대안도 없이 자신들 주장만 고집하면 더 많은 걸 잃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정의당과 김상근 목사, 백낙청 전 서울대 교수, 최영도 변호사, 함세웅 신부 등 재야 인사들은 박 위원장에게 특별법 재협상을 요구했다. 재야 원로들은 박 위원장에게 보낸 편지에서 “‘세월호 조사를 결국 정부와 여당에 넘겨주고 말았구나’라고 생각하며 국민들이 허탈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새정치연합 ‘세월호 특별법’ 다시 협상 추진 파장… 박영선, 강경 목소리에 밀려 리더십 타격…
입력 2014-08-12 0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