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흘 앞으로 다가온 프란치스코 교황의 한국 방문이 세속주의에 찌든 서방 중심의 로마 가톨릭에 앞으로는 아시아 가톨릭을 중시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던져줄 것이라는 평가가 외신들로부터 나온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은 전임 베네딕토 16세가 재임 8년 동안 한 번도 아시아를 방문하지 않은 것과 대비된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내년 1월 스리랑카와 아시아 최대 가톨릭 국가인 필리핀을 방문할 예정이다. 여기에 허핑턴포스트는 젊었을 때 일본 선교사가 되길 꿈꿨던 교황이 일본 방문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같은 행보는 아시아 전체 인구의 3.2%에 불과하지만, 급신장세를 보이는 아시아 가톨릭 신자들을 격려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AFP는 전했다.
특히 아시아 가톨릭에서는 사회 정의와 같은 이슈가 부각돼 있는데, 이 점이 프란치스코 교황의 개인적 성향과 맞아떨어진다고 허핑턴포스트는 분석했다. 교황은 서구사회의 가톨릭교회가 가난과 소득 불평등 등의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촉구해 왔다.
허핑턴포스트는 이번 교황의 방한이 “로마 가톨릭이 아시아 가톨릭에 더 열린 자세를 갖도록 하는 것 자체만으로도 교회에 엄청난 파급 효과를 가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교황은 지난 6월 한 인터뷰에서 “아시아 교회는 장래가 촉망된다”고 말한 바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전통 교리 수호에 치중하던 전임 교황들과 달리 가톨릭이 아직은 ‘외래 종교’ 취급을 받는 아시아의 현실을 감안한 문화적 변용도 용인하는 편이라고 외신들은 분석했다. 그는 16세기 예수회 선교사로 가톨릭의 중국화에 앞장선 마테오 리치를 높이 평가한다. 남미 출신인 교황은 또 시리아 내전 등의 갈등 해결 방안에 대해 서구 열강보다 러시아와 중국에 더 가까운 입장을 갖고 있다.
이런 가운데 보스턴글로브는 십자군전쟁에도 불구하고 이슬람과 평화를 추구한 성(聖) 프란치스코의 이름을 딴 교황이 한국에서 비무장지대(DMZ) 너머 북한에 대해 어떤 평화의 메시지를 던질지도 주목된다고 말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
“교황 한국 방문은 아시아 중시 메시지”
입력 2014-08-12 0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