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윤일병 폭행사망 파장] 한민구 국방, 첫 지휘서신 이번 주 하달

입력 2014-08-11 05:00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병영문화 개선을 위한 군 지휘관들의 각성을 촉구하는 내용의 첫 지휘서신을 작성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10일 “한 장관이 이번 주 첫 장관 지휘서신을 전군에 하달할 예정”이라며 “병영문화 전반을 대폭 개선하고 지휘관들의 각별한 관심을 당부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휘서신은 지휘관들의 부대 운영지침을 담은 것으로, 국방부 장관의 경우 취임한 지 통상 2∼3개월 후 첫 서신을 작성했다. 국방부와 육·해·공군, 해병대뿐만 아니라 북한과의 관계, 한·미동맹 등 방대한 사안에 대한 장관의 이해가 필요해서다. 하지만 한 장관은 취임한 지 한 달을 넘긴 상태에서 첫 지휘서신을 하달하게 됐다. 지난 4월 7일 발생한 육군 28사단 윤모(20) 일병 폭행사망 사건의 충격이 그만큼 크기 때문이다.

군 관계자는 “윤 일병 사망 사건으로 어수선한 군심(軍心)을 안정시키고 국민들에게 불행한 사건이 재발되지 않도록 하겠다는 군의 다짐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한 장관은 지난 주말 지휘서신 초안을 꼼꼼히 점검했다.

한 장관은 첫 지휘서신에서 윤 일병 사건에 대해 철저한 반성을 한 뒤 각급 부대 지휘관들이 병사들의 소중함을 알고, 이들에게 깊은 관심을 갖도록 촉구할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한 장관은 지난 6월 30일 취임사에서도 “자녀를 군에 보낸 부모님들이 안심할 수 있는 안전하고 쾌적한 병영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며 “인격 존중의 병영문화 정착을 위해 관심과 투자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군은 뒤늦게 군내 인권 개선에 나섰다. 국방부는 군 인권업무 훈령을 전면 개정해 군 인권 문제를 논의하는 국방인권협의회를 설치하고 장교·부사관·병사 등을 모니터 요원으로 하는 국방인권모니터단도 운영키로 했다. 또 인권침해 사례가 발생하면 피해자가 신속하고 전문적인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인권상담관을 배치하고, 주기적인 인권교육을 위해 대대급 이상 야전부대에 인권교관을 임명키로 했다. 국방부는 훈령을 11일 발령할 계획이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