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영화와 드라마 등 밀수입된 한국 대중문화의 유통을 차단하기 위해 특별단속반까지 가동해 대대적인 단속에 착수했다. 엄격해지고 있는 국경 단속과 더불어 외부 문물로 인한 통제력 이완을 막기 위한 정권 차원의 극약처방으로 해석된다.
러시아 국영방송인 '러시아의 소리'는 8일(현지시간) 북한이 불법 비디오물 차단을 위한 '114 경찰조직'을 창설해 사상 통제에 몰두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방송은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직접 관련 발의를 했으며, 적발 시 징역을 넘어선 총살까지 언급되는 등 심상치 않은 공포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은 올해 초 형법 60조에 해당하는 '국가전복음모죄'에 △남조선(한국) 등 외국과의 불법 전화통화 △DVD 등 한국 드라마 시청과 라디오 청취 △국가기밀 누설 △밀수로 인한 인신매매와 성매매 △마약 복용과 밀매 등 5개 사항을 추가해 개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북한 당국은 국경지역에 대한 대대적인 검열을 진행해 주민들의 이탈을 엄단해 왔다. 조치는 정권 승계 이후 경제개혁과 국가 통제라는 상충된 과제에 직면한 김 제1비서가 체제 안정의 최우선 과제로 해묵은 사상통제 카드를 꺼내들 수밖에 없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자본주의 사상과 문화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한국 드라마 속 헤어스타일과 언어 등 이른바 '한류 붐'은 북한 지도층에까지 깊숙이 침투해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5일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핵 노스 코리아(Hack North Korea)' 행사를 보도하면서 한국 드라마를 포함한 문화와 정보민주화가 북한 체제의 운명을 가를 변수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
北, 한국 드라마·영화 유통 김정은 지시로 대대적 단속
입력 2014-08-11 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