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여 후보 인사청문회 “한국사는 국가가 가르쳐야… 0∼2세 교육 정부지원 확대”

입력 2014-08-08 04:38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7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김지훈 기자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7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한국사 과목의 국정교과서 전환 찬성 등 주요 교육정책에 대한 소신을 피력했다. 존폐 논란이 불거졌던 교육감 직선제에 대해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보완해 나가겠다는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

황 후보자는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은 정권이 아니라 국가가 책임지고 한 가지로 가르쳐야 국론 분열의 씨앗을 뿌리지 않을 수 있다”면서 “역사교실만큼은 좌우를 뛰어넘어 자라나는 세대에게 국가의 미래를 가르치는 치유의 장소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교육부에서 아직 정해진 것이 없고 신중한 공론화 과정을 거치고 있으니 사회 각층의 의견을 모으겠다”고 덧붙였다.

교육부에서 추진 중인 대학구조개혁 정책은 수도권 대학과 지방 대학을 분리·적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황 후보자는 “대학구조조정과 맞물려 지방대가 희생의 대상이 되면 안 된다”며 “지역균형, 국가균형 발전을 위해서 지방대가 두텁게 보호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교육부의 대학구조개혁 평가는 4년제 대학과 전문대만을 구분하고 있어 ‘지방대 죽이기’라는 지방대 측 비판이 거셌다.

0∼2세 영·유아 대상 교육에 대해서는 정부 지원을 확대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그는 “영·유아 때 교육이 모든 교육의 기본”이라며 “0∼2세 영아 교육 부분도 정식 유아교육으로 받아들여 아기 돌봄에서 나아가 영아교육으로 자리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아교육과 보육 체계를 일원화하는 것을 최우선 사업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6·4지방선거에서 진보 교육감이 대거 당선된 뒤 불거진 교육감 직선제 폐지 논란에 대해선 장점을 유지하되 보완하는 방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었다. 황 후보자는 “우리 교육에 헌법이 요구하는 정치적 중립성, 전문성, 자주성 등을 모두 만족시키는 제도를 만들기는 힘들다”며 “직선제 장점을 유지하면서 보완하는 방법은 없을까 고민하겠다”고 조심스럽게 말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