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여 후보 인사청문회 “한국사는 국가가 가르쳐야… 0∼2세 교육 정부지원 확대”

입력 2014-08-08 03:33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7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김지훈 기자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7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한국사 과목의 국정교과서 전환 찬성 등 주요 교육정책에 대한 소신을 피력했다. 존폐 논란이 불거졌던 교육감 직선제에 대해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보완해 나가겠다는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

황 후보자는 “정권이 아니라 국가가 책임지고 한가지로 가르쳐야 국론 분열의 씨앗을 뿌리지 않을 수 있다”면서 “역사교실만큼은 좌우를 뛰어넘어 자라나는 세대에게 국가의 미래를 가르치는 치유의 장소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교육부에서 아직 정해진 것이 없다”며 “신중한 공론화 과정을 거치고 있으니 사회 각층의 의견을 모으겠다”고 덧붙였다.

0∼2세 영·유아 대상 교육에 대해서는 정부 지원을 확대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그는 “영·유아 때 교육이 모든 교육의 기본”이라며 “0∼2세 영아 교육 부분도 정식 유아교육으로 받아들여 아기 돌봄에서 나아가 영아교육으로 자리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어린이들이 어느 보육기관에 가더라도 동등한 대우와 일정 수준의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게 제 소신”이라며 “유아교육과 보육 체계를 일원화하는 것을 최우선 사업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6·4지방선거에서 진보 교육감이 대거 당선된 뒤 불거진 교육감 직선제 폐지 논란에 대해선 장점을 유지하되 보완하는 방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었다. 황 후보자는 “우리 교육에 헌법이 요구하는 정치적 중립성, 전문성, 자주성 등을 모두 만족시키는 제도를 만들기는 힘들다”며 “직선제 장점을 유지하면서 보완하는 방법은 없을까 고민하겠다”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밝혔다. 또 “고심 끝에 교육감 간선제에서 직선제로 왔는데 새로운 게 나온다면 헌법 가치와 맞아야 하고, 의원들이 토론하고 국민과도 공감대를 얻어야 한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의원들은 당 대표를 지낸 황 후보자의 도덕성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고 정책 질의에 집중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은 도덕성과 역사관 등의 검증에 방점을 뒀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