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외에 노출된 우리 문화재 다섯 건 중 한 건은 관리·보존 상태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재청은 동산문화재를 제외한 국가 및 지방 지정(등록)문화재 7393건에 대해 특별 종합점검을 실시한 결과, 22.8%인 1683건에서 즉각적인 수리나 보수정비가 필요한 수준의 구조적 결함이 발견됐다고 7일 밝혔다.
◇실태=문화재청은 전국 시·도와 함께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5월까지 지정문화재와 등록문화재, 사찰·문중·서원 등 유물 다량 소장처 47개소를 대상으로 사상 첫 특별점검을 실시했다.
문화재청은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7393건의 문화재 상태를 6개 등급(A∼F)으로 분류했는데, 별도의 보존대책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A∼C 등급은 5697건(77.1%), 훼손 위험도가 높아 모니터링이나 보수정비, 즉시 조치 등이 필요한 D∼F 등급은 1683건(22.8%)으로 집계됐다.
D∼F 등급을 받은 문화재 중에는 경주 석굴암 석굴, 예산 수덕사 대웅전,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등 국보 31건과 보물 118건도 포함됐다. 또 문제가 된 1683건 중 1254건은 시도지정문화재인 것으로 집계됐다.
첨성대 등 석조문화재의 경우, 1601건 중 642건(40.1%)이 재질 풍화, 생물오염 등에 따른 잠재적 훼손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고, 산성을 비롯한 성곽문화재는 총 391건 중 절반에 해당하는 185건(47.3%)에서 보수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재청은 “문제나 결함이 있는 것으로 분류된 1683건 모두가 이번 특별점검에서 새로 발견된 건 아니다”라며 “기존 정기점검 등에서 문제가 발견돼 이미 정밀조사나 보존 조치에 들어간 문화재도 상당수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문화재청은 이번 특별점검을 위해 분야별 전문가 100명으로 ‘문화재특별점검단’을 구성했고, 문화재의 구조적 안정성, 노후도와 훼손도, 방재설비 등이 주요 점검 사항이었다고 덧붙였다.
◇대책=문화재청은 중점관리대상 문화재 선정, 정기조사 법정주기 단축 등 문화재 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대책들도 발표했다.
문화재청은 숭례문, 반구대 암각화, 해인사 대장경판, 첨성대, 석굴암 등 국민적 관심이 높고 상징성이 큰 문화재를 특별관리하기 위해 ‘중점관리대상 문화재’를 새로 선정하기로 하고, 이를 담당할 선정평가위원회도 구성하기로 했다. 또 국보, 보물, 사적 등 중요 건조물문화재의 정기조사 법정주기를 기존 5년에서 3년으로 단축하는 방안도 추진할 예정이다.
이밖에 지자체의 취약한 문화재 관리체계를 보완하기 위해 ‘문화재관리사’ 제도를 2016년 도입하고, 시민이 참여하는 문화재 모니터링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모바일 기반의 ‘스마트 문화재 모니터링시스템’을 개발해 내년부터 적용하기로 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야외 노출 문화재 23% 심각한 결함”… 문화재청 지정문화재 7393건 점검
입력 2014-08-08 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