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위안부 공방’ 격화… 우익세력 “일본 모욕”-양심세력 “인권 문제”

입력 2014-08-08 03:06
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책임을 부정하는 세력들이 아사히신문의 ‘오보 시인’을 계기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를 양심 세력이 비판하면서 일본 내 군 위안부를 둘러싼 공방이 격화될 조짐이다.

아사히가 지난 5일 제주도에서 다수 여성을 강제로 끌고 가 위안부로 삼았다는 일본인 요시다 세이지(사망)씨 주장을 토대로 작성한 1980∼90년대 자사 기사들의 오류를 인정하고 취소하자 일부 정치인과 언론이 기회를 잡았다는 듯 비판하고 나섰다.

지난해 ‘군 위안부가 당시에 필요했다’는 망언을 한 하시모토 도루 오사카 시장은 6일 BS니혼TV 프로그램에 출연해 “강제 연행이 있었다는 것으로 인해 일본은 세계로부터 부당한 모욕을 당해왔다”며 “일·한 관계를 꼬이게 한 것은 아사히”라고 말했다.

야마다 히로시 차세대당 간사장은 “아사히 기사가 한국 국민에게 감정적인 반발심을 크게 심었다”고 주장했으며 보수 성향의 요미우리와 산케이신문은 6일자에 이어 7일자에서도 기사와 칼럼을 실으며 아사히에 날을 세웠다.

그러나 문제의 본질을 직시하자는 지적도 잇따르고 있다.

야마시타 요시키 공산당 서기국장은 “군의 관여와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 담화의 진실성은 조금도 손상되지 않는다”고 강조했고, 사민당의 요시다 다다토모 당수는 “위안부 문제 축소는 있을 수 없다”고 반박했다. 마이니치신문은 사설에서 “고노 담화를 아베 정권이 계승한다고 세계에 약속한 이상 ‘넓은 의미의 강제성인가’ ‘좁은 의미의 강제성인가’와 같은 국내 논란에 시간을 허비하는 것은 국익을 해친다”며 “군 위안부 문제는 애초 전시에 여성의 존엄이 짓밟힌 보편적 인권의 문제”라고 역설했다.

한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달 말 후쿠다 야스오 전 일본 총리를 만나 “아베 신조 총리가 중국과 어떤 교제를 하고 싶어 하는지 보이지 않는다”고 불만을 표출했다고 산케이신문이 이날 중·일 관계 소식통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시 주석은 “집단 자위권 행사를 허용해서 무엇을 하고 싶은 것인가, 적극적 평화주의는 무엇인가”라며 아베 정권의 안보정책에 불신을 드러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