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정신문화의 사회적 확산을 위해 정부가 나섰다.
대통령 직속 자문위원회인 문화융성위원회는 6일 청와대에서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제4차 회의를 열고 인문정신문화 진흥을 위한 중장기적 정책 방향으로 ‘인문정신을 시민의 지혜로’를 제안했다.
문화융성위 산하 인문정신문화특별위원회가 마련한 중장기 정책방향 보고서에는 ‘인문정신문화진흥법’ 제정과 지속적인 정책 추진 기반 마련, 인문기반 교육 도입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특히 인문특위는 인문정신 진흥을 제도화하기 위해 1965년 설립된 미국의 국가인문진흥재단(NEH)처럼 국가 차원의 진흥기구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부도 인문특위의 제안에 따라 ‘7대 중점과제’를 발표했다. 초·중등생 인문정신 함양 교육 강화, 인문정신 기반 대학 교양교육 개선, 은퇴자의 청소년 교육 참여 등 문화 향유 프로그램 다양화, 국제교류 활성화 등이 포함됐다.
문체부는 각 지역 도서관과 박물관, 미술관 등을 통해 문화 체험활동을 강화하는 등 인문학 대중화에 힘쓸 방침이다. 국민일보와 함께 진행하는 ‘책 권하는 CEO, 책 읽는 직장’ 캠페인 등을 통해 직장 독서문화 정착에도 노력키로 했다. 본보에 소개된 애경, 신세계, 현대모비스, 삼성전자, 기업은행 등의 독서 경영이 우수 사례로 보고됐다.
교육부도 인문학 전공 대학생이 비전공 학생을 돕는 ‘인문멘토단’을 운영한다. 2단계 인문 한국 사업을 통해 소규모 인문랩(lab)에 1억∼1억5000만원도 지원하기로 했다.
회의에서는 최근 군부대 내 가혹행위가 사회문제화된 가운데 관심병사였다가 도서관 관리병을 맡은 뒤 병영 생활이 개선된 현역 병사의 사례가 발표돼 눈길을 끌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朴대통령 주재 문화융성위 제4차 회의… 인문정신문화 확산 점화
입력 2014-08-07 0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