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볼라출혈열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된 상황에서 의료단체들이 “국내 유입을 막으려면 발병지역에서 입국한 사람들에 대한 3주간 모니터링이 가장 중요하다”며 정부에 입국 후 검역 체계 강화를 촉구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에볼라 괴담’까지 나도는 상황에 대해선 “지나치게 우려할 필요가 없다”며 자제를 당부했다.
대한의사협회와 대한감염학회는 6일 기자회견을 갖고 “공항 검역을 통해 에볼라출혈열 환자가 발견될 가능성은 낮다”며 “입국 후에 바이러스 잠복기인 21일간 발열 여부 등을 철저히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에볼라 바이러스가 국내로 유입될 가능성은 낮지만 더 철저히 차단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는 “환자가 발생해도 전해질과 수혈을 보충해 환자의 면역체계가 바이러스를 이겨내도록 하면 치사율을 낮출 수 있다”며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신종플루 사태를 통해 노하우를 축적한 보건 당국이 이미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한의사협회 김형규 국민건강보호위원장도 “최근 3주 이내에 서아프리카를 다녀온 사람이 아니라면 감염을 걱정할 필요는 없다”며 “미국인 환자 2명이 아직 생존해 있는 것처럼 적절한 보조치료만으로도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감염병 예방 대책을 손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 교수는 “새로운 감염병 백신 개발에 최소 10∼15년이 걸리고 비용도 1조원 이상 드는데 제약사가 수익을 낼 수 없어 개발이 불가능한 상태”라며 “정부가 해외 유입 신종 감염병에 대한 체계적 대비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계수학자대회(ICM) 조직위원회는 발병국인 기니 출신 수학자 1명의 대회 참가 등록을 취소했다. 박형주 조직위원장은 “국민적 불안을 고려해 해당 수학자에게 불참 권고보다 한 단계 높은 등록 취소 조치를 내리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발병 우려국인 나이지리아 출신 참가자 12명에게는 계속 불참을 권고하고 세계보건기구(WHO)와 질병관리본부의 결정에 따라 추가 조치를 논의할 방침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전체회의를 열고 에볼라출혈열 관련 긴급 현안보고를 받았다. 새정치민주연합 인재근 의원 등은 미국인 환자들이 복용 후 상태가 호전됐다는 치료제 ‘지맵’의 국내 도입 가능성을 물었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아직 검증이 안 됐고 시판되지도 않아 (당장) 도입하기는 어렵다”고 답했다. 문 장관은 또 “미국에서 환자 수송에 사용한 방역항공기는 보유하고 있지 않다”며 “만약 한국인 환자가 발생하면 군과 협의해 에어탱크 등 방역장비를 갖춘 항공기를 사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박세환 최승욱 기자 foryou@kmib.co.kr
“에볼라 유입 막기, 3주간 모니터링 중요”
입력 2014-08-07 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