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는 일제 강점기 당시 국내에서 202개 기업에 5567명(중복 동원 포함 6415건)이 강제 노역에 동원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6일 밝혔다. 2005년 2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위원회에 접수된 15만5000여건의 국내외 노무동원 피해신고 내용을 분석한 결과다.
이 가운데 현재까지 존재하는 일본 기업은 모두 60개이다. 일제 강점기 당시 일본 3대 기업으로 꼽혔던 미쓰비시(三菱) 미쓰이(三井) 스미토모(住友) 계열사와 니혼제철과 닛테쓰광업 등 신일본제철 계열사, 아소 다로(麻生太郞) 현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의 집안인 아소광업 출자회사 등이 포함돼 있다.
동원 지역별로는 함경북도(1849건)가 가장 많았으며 함경남도(821건) 전라남도(502건) 평안북도(488건) 평안남도(316건) 경상북도(297건) 순이다. 한반도 북부에 아오지탄광 흥남비료공장 등 대형 작업장이 많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위원회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는 일본 정부에서 1945년 해방 이후 공개한 국내 노무동원 피해자 650만명의 0.23%에 불과해 피해 사례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
국내 강제노역 피해자 5567명… 미쓰비시·미쓰이 등 202개 日 기업이 자행
입력 2014-08-07 02:30